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올해도 증가
등록일 : 2025.02.25 20:09
미니플레이
국정을 더 촘촘히 살펴봅니다.
보도자료 브리핑입니다.
임보라 기자>
알리·테무 등 해외직구 플랫폼이 다양해지면서, 해외에서 안전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 유통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소비자원은 리콜 제품 유통 현황을 점검하고 1,336건에 대해 유통·재유통을 차단했는데요.
먼저, 해외에서 리콜됐지만 '국내 유통'이 확인돼 시정 조치한 사례는 577건이었습니다.
품목별로는 음식료품이 가장 많았고, 전자기기·아동용품이 뒤를 이었습니다.
대부분 '유해물질·알러지 성분 함유'나 '감전·질식 위험' 등 안전 문제가 원인이었고, 중국산 제품이 가장 많았습니다.
안전 문제로 이미 유통 차단한 제품이 '재유통'돼 다시 조치한 사례도 759건을 차지했는데요.
재유통 사례에선 '가전·전자·통신기기' 품목의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해외직구로 제품을 샀다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소비자24에서 리콜 제품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브리핑입니다.
임보라 기자>
알리·테무 등 해외직구 플랫폼이 다양해지면서, 해외에서 안전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 유통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소비자원은 리콜 제품 유통 현황을 점검하고 1,336건에 대해 유통·재유통을 차단했는데요.
먼저, 해외에서 리콜됐지만 '국내 유통'이 확인돼 시정 조치한 사례는 577건이었습니다.
품목별로는 음식료품이 가장 많았고, 전자기기·아동용품이 뒤를 이었습니다.
대부분 '유해물질·알러지 성분 함유'나 '감전·질식 위험' 등 안전 문제가 원인이었고, 중국산 제품이 가장 많았습니다.
안전 문제로 이미 유통 차단한 제품이 '재유통'돼 다시 조치한 사례도 759건을 차지했는데요.
재유통 사례에선 '가전·전자·통신기기' 품목의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해외직구로 제품을 샀다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소비자24에서 리콜 제품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56회) 클립영상
- 한은, 기준금리 2.75%로 인하···성장률 1.5%로 하향 조정 02:14
- 대출금리 파급효과 분석···가계대출 안정적 관리 01:55
- "그린벨트 해제 총면적 확대···1조 원 규모 과학기술펀드 조성" 02:02
- 국가·지역전략사업 15곳 선정···농지 규제 대폭 완화 03:00
- 1조 규모 '과학기술혁신펀드' 조성···12대 전략기술 집중 투자 02:21
- 우후죽순 '특구' 손본다···농촌 규제혁신지구 10곳 지정 [뉴스의 맥] 03:40
- 최 권한대행 "추가재정 투입 등 조속한 결과 기대" 01:59
- 국방부, 다음달 한미 연합연습에 '생성형 AI' 시범 활용 00:36
- KDI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 중위소득기준으로" 01:50
- 대입 지원 개선방안 논의···"사교육 영향력 최소화" 02:03
- 학교 주변 위해요소 점검···어린이 안전신문고 3월부터 운영 02:20
- '색조 화장' 시작 나이 낮아져···올바른 사용법은? 02:13
- 한류 일등 공신은 'K-팝'···북미에서는 '한국 음식' 열풍 00:44
-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올해도 증가 01:11
- 2024년 헬스장 가격표시제 점검 결과 00:44
- '광복 80주년, 독립유공자 묘소 참배' 일제히 추진한다 00:42
- 이동형 국가유산교육 체험관 '이어지교' 올해 100여 곳 순회 0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