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산림청, 봄철 산불위험 증가 산불 예방 대책은?
등록일 : 2025.02.26 22:30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최근 산불 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산림청은 지난 23일 전국 대부분 지역의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특히 다가오는 3월은 1년 중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이라 더욱 유의가 필요한데요.
산불 예방과 신속한 대응 방안에 대해 산림청 이용권 산림재난통제관과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이용권 /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

김용민 앵커>
최근 기후 변화와 건조한 날씨로 산불이 증가하고,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봄철은 대형 산불로 번질 위험이 큰데요.
자세한 이야기에 앞서, 산불 발생과 피해 현황에 대해 설명해 주시죠.

김현지 앵커>
산불 피해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는데요.
최근 LA 산불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피해가 컸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김용민 앵커>
대형 산불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불씨 관리 부주의'가 꼽히는데요.
그 외에도 어떤 원인들이 있고, 불씨가 빠르게 확산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짚어주시죠.

김현지 앵커>
말씀하신대로 예방이 중요해 보이는데요.
산림청에서는 2025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불씨와 연료 관리가 중요할텐데, 이에 대한 대책을 소개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산림 근처 사찰, 국사유산 등 중요한 시설을 보호하는 방안도 마련했다고 하는데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요?

김현지 앵커>
올해 봄철 산불조심기간은 1월 24일부터 시작됐습니다.
예년보다 8일 정도 앞당겨져 운영되고 있는데요.
이를 위해 체계적인 산불 대비 태세를 확립했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인가요?

김용민 앵커>
신속한 산불 대응을 위해 진화 인력운영을 효율화하고 자원을 확충했다는데요.
관련 내용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산림헬기 진화 자원 역량도 높였다고 하는데요.
기동성이 우수하고 야간에도 진화가 가능한 '수리온 헬기'가 확충됐다고요?

김용민 앵커>
산불 재난을 예방하고 진화하는데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등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하기도 한다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산림청은 산불·산사태·산림병해충 통합 관리하는 '산림재난방지법'을 제정했는데요.
그 배경과 주요 내용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산불 피해 지역 복구와 산림 보호에서 자연 복원과 사람이 직접 나무를 심는 인공조림의 균형이 중요한데요.
복구 방식은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나요?

김현지 앵커>
마지막으로, 국민들이 산불 예방을 위해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간단한 실천 방안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산림청 이용권 산림재난통재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