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트럼프 2기 파고 넘는다! 수산 수출 대작전
등록일 : 2025.02.27 11:40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한류 열풍을 타고 K-푸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해외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이렇게 K-푸드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정부가 올해 수산식품 수출 역대 최대치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특히 이번 전략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관세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수산식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는데요.
자세한 내용, 해양수산부 수출가공진흥과 윤상훈 과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윤상훈 / 해양수산부 수출가공진흥과 과장)

김용민 앵커>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우선, 그동안의 수산식품 수출 성과와 올해 목표부터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면서, 수산식품 수출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세 조치와 환율 변동에 따른 대응 전략은 어떻게 되나요?

김용민 앵커>
미국에서는 2026년부터 새로운 비관세 장벽 조치도 시행될 예정이라고 들었는데요.
대응방안으로는 어떤게 있나요?

김현지 앵커>
이러한 무역리스크에 대비해 기업별로, 업종별로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김용민 앵커>
현재 수산식품 수출 1위 품목이 바로 '김'이죠.
2019년부터 참치를 제치고 현재까지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앞으로도 부동의 1위를 지키기 위한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은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이러한 무역리스크에 대비해 기업별로, 업종별로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김현지 앵커>
이에 더해 굴과 전복 등 차세대 유망품목도 본격적으로 육성할 계획이시라고요?

김용민 앵커>
수산식품 수출 분야에도 스마트화나 친환경과 같은 새로운 트렌드가 큰 영향을 줄 것 같은데요?

김현지 앵커>
그동안 주요 수출국이었던 일본, 중국, 미국 뿐 만 아니라 신흥시장에 대한 진출도 추진한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김용민 앵커>
우리나라 조미김이나 어묵 등 가공품과 관련해 모방상표가 해외에서 무단 선점되는 사례 등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수산식품 수출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미국 신행정부 출범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올 한해 수산식품 수출 전망과 우리 수산식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해양수산부 수출가공진흥과 윤상훈 과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