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가구소득 3.8%↑···소비지출 증가폭 둔화
등록일 : 2025.02.28 07:47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지난해 4분기 가구소득이 재작년보다 3.8% 늘어났습니다.
소비지출도 늘었지만 증가폭은 둔화됐는데요.
물가가 오르면서 가계가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소비 증가폭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 결과,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21만5천 원을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했습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늘어난 데다, 연금 등을 포함한 이전소득도 증가하면서 6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가계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3천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5% 증가했습니다.
항목별로는 주거·수도·광열비가 7.6% 늘었고, 음식·숙박, 오락·문화 등의 지출도 증가했습니다.
다만 소비지출 증가폭은 코로나19 사태 중이던 2021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녹취> 이지은 /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
"소비지출 증가율 자체는 16분기 연속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대로 그 증가폭이 조금 둔화되고 있는데, 둔화된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자동차 구입이나 가구·통신장비 등 내구재 위주로 소비지출이 다소 감소한 측면이 있다고 보고 있고요."
소득과 지출을 비교하면 가계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월평균 소득에서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20만7천 원으로, 1년 전보다 4.0% 증가했습니다.
이 처분가능소득에서 실제 소비지출을 제외하고 남은 돈, 즉 '가계 흑자액'은 130만5천 원으로 7.8% 늘었습니다.
한편 지난해 가구당 연평균 소비지출은 289만 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다만 실제 소비 여력이 얼마나 늘었는지 보여주는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1.2%에 그쳤습니다.
물가가 오르면서 가계가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소비 증가폭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김지영)
소비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15.5%를 차지한 음식·숙박이었고, 식료품과 주거 관련 지출이 뒤를 이었습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지난해 4분기 가구소득이 재작년보다 3.8% 늘어났습니다.
소비지출도 늘었지만 증가폭은 둔화됐는데요.
물가가 오르면서 가계가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소비 증가폭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 결과,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21만5천 원을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했습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늘어난 데다, 연금 등을 포함한 이전소득도 증가하면서 6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가계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3천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5% 증가했습니다.
항목별로는 주거·수도·광열비가 7.6% 늘었고, 음식·숙박, 오락·문화 등의 지출도 증가했습니다.
다만 소비지출 증가폭은 코로나19 사태 중이던 2021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녹취> 이지은 /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
"소비지출 증가율 자체는 16분기 연속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대로 그 증가폭이 조금 둔화되고 있는데, 둔화된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자동차 구입이나 가구·통신장비 등 내구재 위주로 소비지출이 다소 감소한 측면이 있다고 보고 있고요."
소득과 지출을 비교하면 가계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월평균 소득에서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20만7천 원으로, 1년 전보다 4.0% 증가했습니다.
이 처분가능소득에서 실제 소비지출을 제외하고 남은 돈, 즉 '가계 흑자액'은 130만5천 원으로 7.8% 늘었습니다.
한편 지난해 가구당 연평균 소비지출은 289만 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다만 실제 소비 여력이 얼마나 늘었는지 보여주는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1.2%에 그쳤습니다.
물가가 오르면서 가계가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소비 증가폭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김지영)
소비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15.5%를 차지한 음식·숙박이었고, 식료품과 주거 관련 지출이 뒤를 이었습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367회) 클립영상
- 4분기 가구소득 3.8%↑···소비지출 증가폭 둔화 02:23
-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3.8% 이내···정책대출 60조 원 공급 01:51
- 헌재,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최 대행 임명 의무" 01:35
- 출산율 반등에 외신 주목···"정부 저출생 대응책 결실" 01:54
- 트럼프, EU에 관세 25% 예고···"대미 소통 강화·기업피해 최소화" [뉴스의 맥] 03:55
- 감사원, '선관위 채용비리' 적발···32명 징계요구 01:57
- 해군 기동함대사, 창설 이후 첫 전대급 해상훈련 01:59
- 국정원 "북한군 추가파병 정황···규모 파악 중" 00:26
- 건설 추락 사고 매년 10% 감축···사망사고 건설사 명단 공개 02:37
- GTX-A 운정중앙~서울역, 개통 두 달 만에 220만 명 이용 02:22
- 다음주 초중고 개학···"백신 접종 권고" 02:19
- 개 등록 의무화···동물 학대자 '사육금지' 추진 02:22
- 3~5월 '여행가는 봄'···국내 여행 활성화·내수 진작 02:30
- 2025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발대식 열고 활동 시작 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