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산재 예방···맞춤형 안전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실시
등록일 : 2025.03.11 11:39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지원을 시작합니다.
기업별로 맞춤형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인데요.

김현지 앵커>
이번 컨설팅이 산업재해 예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백영식 과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백영식 /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과장)

김용민 앵커>
먼저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이 무엇인지, 또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배경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중소규모 사업장이라고 해서 모두 다 대상은 아닐 것 같은데요, 어떤 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대상 선정은 어떤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습니까?

김용민 앵커>
고위험 사업장을 업종이나 사업장을 우선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가 무엇이며, 그 기준은 어떻게 마련되었습니까?

김용민 앵커>
2023년 컨설팅을 받은 사업장 중 95%가 '산업재해 예방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으며, 93.5%가 추천 의향을 보였다고 했습니다.
실제 사고 예방 효과는 어느 정도 확인되었는지, 컨설팅을 통해 도출된 주요 개선 사례가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그렇다면 올해 컨설팅에서는 지난해와 비교해 보완되거나 새롭게 달라진 점이 있습니까?
보다 효과적인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추가된 조치나 강화된 내용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효과적인 컨설팅이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핵심 요소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할 텐데요.
사업장에서 재해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주요 안전 관리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각 업종의 특성에 따라 컨설팅 방식이나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용에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컨설팅 방식이나 내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특히 제조업 중, 지역별로 밀집되어 있는 고위험 업종에 대해서는 해당 업종에 전문성을 가진 별도 컨설팅 기관을 연계한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컨설팅 내용이 포함될까요?

김현지 앵커>
고용부는 이번 안전 컨설팅 외에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해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실제로 성과들을 거두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중소규모 사업장은 안전관리 인력과 재정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데요.
이러한 현실을 고려했을 때, 정부에서 중소 사업장의 안전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마련한 지원 대책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백영식 과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