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예방···맞춤형 안전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실시
등록일 : 2025.03.11 11:39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지원을 시작합니다.
기업별로 맞춤형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인데요.
김현지 앵커>
이번 컨설팅이 산업재해 예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백영식 과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백영식 /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과장)
김용민 앵커>
먼저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이 무엇인지, 또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배경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중소규모 사업장이라고 해서 모두 다 대상은 아닐 것 같은데요, 어떤 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대상 선정은 어떤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습니까?
김용민 앵커>
고위험 사업장을 업종이나 사업장을 우선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가 무엇이며, 그 기준은 어떻게 마련되었습니까?
김용민 앵커>
2023년 컨설팅을 받은 사업장 중 95%가 '산업재해 예방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으며, 93.5%가 추천 의향을 보였다고 했습니다.
실제 사고 예방 효과는 어느 정도 확인되었는지, 컨설팅을 통해 도출된 주요 개선 사례가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그렇다면 올해 컨설팅에서는 지난해와 비교해 보완되거나 새롭게 달라진 점이 있습니까?
보다 효과적인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추가된 조치나 강화된 내용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효과적인 컨설팅이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핵심 요소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할 텐데요.
사업장에서 재해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주요 안전 관리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각 업종의 특성에 따라 컨설팅 방식이나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용에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컨설팅 방식이나 내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특히 제조업 중, 지역별로 밀집되어 있는 고위험 업종에 대해서는 해당 업종에 전문성을 가진 별도 컨설팅 기관을 연계한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컨설팅 내용이 포함될까요?
김현지 앵커>
고용부는 이번 안전 컨설팅 외에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해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실제로 성과들을 거두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중소규모 사업장은 안전관리 인력과 재정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데요.
이러한 현실을 고려했을 때, 정부에서 중소 사업장의 안전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마련한 지원 대책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백영식 과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지원을 시작합니다.
기업별로 맞춤형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인데요.
김현지 앵커>
이번 컨설팅이 산업재해 예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백영식 과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백영식 /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과장)
김용민 앵커>
먼저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이 무엇인지, 또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배경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중소규모 사업장이라고 해서 모두 다 대상은 아닐 것 같은데요, 어떤 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대상 선정은 어떤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습니까?
김용민 앵커>
고위험 사업장을 업종이나 사업장을 우선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가 무엇이며, 그 기준은 어떻게 마련되었습니까?
김용민 앵커>
2023년 컨설팅을 받은 사업장 중 95%가 '산업재해 예방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으며, 93.5%가 추천 의향을 보였다고 했습니다.
실제 사고 예방 효과는 어느 정도 확인되었는지, 컨설팅을 통해 도출된 주요 개선 사례가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그렇다면 올해 컨설팅에서는 지난해와 비교해 보완되거나 새롭게 달라진 점이 있습니까?
보다 효과적인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추가된 조치나 강화된 내용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효과적인 컨설팅이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핵심 요소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할 텐데요.
사업장에서 재해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주요 안전 관리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각 업종의 특성에 따라 컨설팅 방식이나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용에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컨설팅 방식이나 내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특히 제조업 중, 지역별로 밀집되어 있는 고위험 업종에 대해서는 해당 업종에 전문성을 가진 별도 컨설팅 기관을 연계한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컨설팅 내용이 포함될까요?
김현지 앵커>
고용부는 이번 안전 컨설팅 외에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해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실제로 성과들을 거두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중소규모 사업장은 안전관리 인력과 재정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데요.
이러한 현실을 고려했을 때, 정부에서 중소 사업장의 안전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마련한 지원 대책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지원과 백영식 과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56회) 클립영상
- '전투기 오폭' 대국민 사과···"잘못된 표적 확인 안 해" 02:52
- 미 백악관, 트럼프 관세 효과로 현대차·삼성 언급 02:18
- 3월 1∼10일 수출 전년대비 2.9% 증가 00:36
- 중기부, 9개 카드사와 맞손···전통시장 이용 시 캐시백 02:14
- 실손보험 분쟁 증가···"소비자 유의 사항 확인해야" 02:27
- 기부금 사적 유용···공익법인 324곳 적발 01:43
- 대한민국 채용박람회···청년 구직자 맞춤형 취업 지원 02:01
- 낮 동안 온화···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00:27
- 한미연합훈련 첫 날···북, 탄도미사일 발사 28:03
- 제10회 국무회의 모두발언 07:03
- 철강·알루미늄 관세 이번 주 발효 [월드 투데이] 05:51
- 산재 예방···맞춤형 안전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실시 13:45
- 현실성 떨어지는 '대설 피해' 농가 지원? [정책 바로보기] 02:48
- 오늘의 핫이슈 (25. 03. 11. 11시) 0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