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효
등록일 : 2025.03.12 17:30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가 발효됐습니다.
트럼프 2기 정부 관세 정책 현실화로 한국 산업이 직접 영향을 받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조치는 미국 동부시간으로 12일 오전 0시 1분부터 발효됐습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현지시간 11일)
"(다른 나라들은) 25%든 뭐든 간에, 관세는 내고 싶어하지 않아요. 관세는 더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높을수록 그들은 (현지 생산 공장을) 더 지으려고 할 겁니다. 가장 큰 성과는 그게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는 거죠. 관세 자체보다 더 큰 성과인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은 10% 관세를 부과했지만, 이번엔 알루미늄 제품에 붙는 관세도 25%로 올렸습니다.
동시에 관세 적용 대상을 관련 파생상품 253개까지로 늘렸습니다.
단, 범퍼와 차체 등 자동차 부품, 항공기 부품 등 87개 파생상품은 미국 상무부가 추가로 공고할 때까지 관세 적용이 유예됩니다.
볼트와 너트 등 166개 파생상품의 경우 곧바로 관세가 붙습니다.
각 나라와 합의를 통해 적용했던 예외와 각종 관세 면제 조치는 모두 사라졌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과 협상으로 지난 2018년부터 우리나라가 철강 제품에 적용받아왔던 연간 263만 톤 면세 쿼터 조치도 폐기됩니다.
지금까지 대미 철강 수출량 제한 쿼터를 받아들이는 대신 관세를 면제받아온 건데, 한국산 철강도 예외없이 25% 관세를 적용받게 된 겁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부과한 관세 중 한국 산업이 직접 영향을 받는 첫 사례입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9억 달러로, 전체 철강 수출액(332억 9천만 달러)의 9%에 달합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 적용으로 한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면 수익성 악화도 피할 수 없어 우리 정부와 관련 업계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가 발효됐습니다.
트럼프 2기 정부 관세 정책 현실화로 한국 산업이 직접 영향을 받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조치는 미국 동부시간으로 12일 오전 0시 1분부터 발효됐습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현지시간 11일)
"(다른 나라들은) 25%든 뭐든 간에, 관세는 내고 싶어하지 않아요. 관세는 더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높을수록 그들은 (현지 생산 공장을) 더 지으려고 할 겁니다. 가장 큰 성과는 그게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는 거죠. 관세 자체보다 더 큰 성과인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은 10% 관세를 부과했지만, 이번엔 알루미늄 제품에 붙는 관세도 25%로 올렸습니다.
동시에 관세 적용 대상을 관련 파생상품 253개까지로 늘렸습니다.
단, 범퍼와 차체 등 자동차 부품, 항공기 부품 등 87개 파생상품은 미국 상무부가 추가로 공고할 때까지 관세 적용이 유예됩니다.
볼트와 너트 등 166개 파생상품의 경우 곧바로 관세가 붙습니다.
각 나라와 합의를 통해 적용했던 예외와 각종 관세 면제 조치는 모두 사라졌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과 협상으로 지난 2018년부터 우리나라가 철강 제품에 적용받아왔던 연간 263만 톤 면세 쿼터 조치도 폐기됩니다.
지금까지 대미 철강 수출량 제한 쿼터를 받아들이는 대신 관세를 면제받아온 건데, 한국산 철강도 예외없이 25% 관세를 적용받게 된 겁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부과한 관세 중 한국 산업이 직접 영향을 받는 첫 사례입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9억 달러로, 전체 철강 수출액(332억 9천만 달러)의 9%에 달합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 적용으로 한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면 수익성 악화도 피할 수 없어 우리 정부와 관련 업계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774회) 클립영상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효 02:27
- 미 관세, 민관합동 대응···통상본부장 방미 02:05
- "기술력이 곧 국력···내년도 R&D 예산 30조 원" 02:25
- 특별연장근로 6개월로 확대···"반도체법 통과 필요" 01:57
- 공정위, '번호이동 담합' 이통 3사에 과징금 1천140억 02:36
- 나도 모르는 계좌 개설 '사전 차단'···금융범죄 예방 02:18
-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발사 성공···초기 운영 돌입 00:34
- 호주, "미 관세 실망···보복 안 해" [글로벌 핫이슈] 06:04
- 오늘의 증시 (25. 03. 12. 16시) 00:54
- 봄의 불청객 '비염'···막힌 코 뻥 뚫는 방법 [건강 365] 2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