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관세전쟁 최악이면 성장률 1.4%···금리인하 기조 유지"
등록일 : 2025.03.13 20:31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한국은행은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을 경우, 우리 경제 성장률이 1.4%까지 악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아울러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가능성도 시사했는데요.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미국발 관세전쟁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으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1.4%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녹취> 최창호 / 한국은행 통화정책국장
"미 관세 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고 시장 참가자들의 경계감도 높은 만큼 향후 미국 관세 정책 추진 과정에서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한은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시나리오별 영향을 재평가하고, 한국 경제성장률을 제시했습니다.
미국이 중국에 현재 수준의 관세를 유지하고 다른 주요국에는 그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하는 '기본 시나리오'에서는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각각 1.5%, 1.8%로 제시됐습니다.
그러나 미국이 올해 말까지 중국 등 주요 무역 적자국에 관세를 점차 높여 부과한 뒤 2026년까지 유지하고,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고강도 보복관세로 대응할 경우,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은 모두 1.4%까지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한은은 대미 수출 감소와 세계교역 위축,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국내 성장과 물가에 하방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은은 "앞으로 통화정책은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데 비중을 두고 운영하겠다"며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시사했습니다.
지난달 기준금리 인하를 포함해 올해 2~3차례 낮출 계획인데, 시기와 속도는 가계부채와 주택가격, 환율 등 금융 안정 상황을 살펴 결정할 방침입니다.
한은은 당분간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서울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가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를 자극할 수 있어 안정적 평가를 유지할지는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제공: 한국은행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