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미 군함 국내서 재탄생···한미 조선 협력 시작
등록일 : 2025.03.14 11:3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미 해군 함정이 국내에서 재탄생했습니다.
미 해군 '윌리 시라'호가 국내 조선소에서 처음으로 보수, 정비 작업을 마치고 본국으로 돌아갔습니다.
한미 조선 협력의 신호탄이 될 전망입니다.

김현지 앵커>
정부가 이달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동결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대학들도 미복귀 의대생에 제적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주요 정책현안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관련 내용 짚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한치호 /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

김용민 앵커>
미국과 조선업 협력은 미국발 관세 전쟁의 중요한 협상카드로 거론되어 왔는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가 나왔습니다.
미 해군 군함이 국내 조선업체에서 정비를 받고 본국으로 떠납니다.
한미 조선협력의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였던 것 같아요.

김현지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직후 조선업 협력을 요청했고, 조선 협력을 위한 조치들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통상압박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한미 조선협력은 중요한 협상 카드가 될 것 같습니다.

김용민 앵커>
트럼프 발 관세 조치는 앞으로가 문제입니다.
4월 상호관세도 예고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어떤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다음 달에는 우리 핵심 수출품목인 자동차와 반도체에 대한 관세부과도 예고돼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 업계에서는 소고기 수입에 대한 한국의 규제를 풀어달라는 요구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대응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김용민 앵커>
최상목 권한대행역시 대미 협의에 총력을 기울여달라고 강조했는데요.
지난 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한 데 이어 통상본부장이 다시 미국 방문길에 올랐습니다.
정부가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김용민 앵커>
정부는 관세가 시행된 철강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민관합동으로 대응하기로 했는데요, 관련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김현지 앵커>
정부는 업계에 대미 통상 결과를 설명하고, 업계와 함께 공동 대응하겠다는 방침인데요, 이달 중 업계 의견이 반영된 산업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죠?

김용민 앵커>
미국의 관세조치는 수출 중소기업에 더 큰 피해가 예상되는데요, 정부가 긴급대응반을 가동해 맞춤형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구요?

김용민 앵커>
주제를 바꿔보겠습니다.
정부가 이달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정부가 의대생들에 조속한 복귀를 당부했죠?

김용민 앵커>
정부의 내년도 의과대학 증원 조건부 동결 선언에도 의대생 집단행동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학에서는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조치를 시사하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의료계 내부에서도 복귀 호소가 이어지고 있고, 의대생들이 돌아와야 한다는 여론도 확산되고 있는데요,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반응에는 온도차가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주제를 바꿔보겠습니다.
오늘부터 전국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 가능해집니다.
지난해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어 왔는데 모바일 신분증 시대, 어떻게 달라지나요?

김용민 앵커>
지갑을 놓고 다니는 경우가 점점 많아져서 모바일 신분증 수요가 커지는 추세인데요, 모바일 뱅킹 앱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발급방법도 알려주시죠.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