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문취업 외국인 30만 명···'월소득 200만 원 이상' 98%
등록일 : 2025.03.18 17:30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비전문취업 비자로 국내에 입국한 외국인 수가 지난해 처음 3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비전문취업 근로자의 약 98%가 월 200만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지난해 기준 국내 상주 외국인 가운데 취업자의 비중은 64.7%.
반면 비경제 활동인구 비중은 31.4%, 실업자는 3.9%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전체 외국인 취업자 가운데 비전문 취업의 비중이 29.9%로 가장 높았습니다.
비전문취업은 단순 노무직 근로자를 고용하기 위한 취업 비자로, 지난해 처음 3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녹취> 송준행 / 통계청 고용통계과장
"(지난해 5월 기준) 외국인 상주 인구는 비전문취업, 전문인력 등에서 증가를 주도하여 전년보다 13만 명 증가한 156만1천 명이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광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45.6%로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비전문취업 근로자의 80.5%가 광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 수준은 200~300만 원 구간이 51.2%로 가장 많았습니다.
300만 원 이상은 37.1%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비전문취업 근로자의 약 98%가 월 200만 원 이상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의 한국 생활 만족도는 평균 4.3점으로 집계됐습니다.
체류 자격별로는 비전문취업 근로자가 4.4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차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외국인은 17.4%, 차별의 주요 이유로는 출신 국가와 한국어 능력 등이 꼽혔습니다.
외국인의 한국어 실력은 평균 3.4점이었는데, 특히 쓰기 실력이 3.2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김경호입니다.
비전문취업 비자로 국내에 입국한 외국인 수가 지난해 처음 3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비전문취업 근로자의 약 98%가 월 200만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지난해 기준 국내 상주 외국인 가운데 취업자의 비중은 64.7%.
반면 비경제 활동인구 비중은 31.4%, 실업자는 3.9%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전체 외국인 취업자 가운데 비전문 취업의 비중이 29.9%로 가장 높았습니다.
비전문취업은 단순 노무직 근로자를 고용하기 위한 취업 비자로, 지난해 처음 3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녹취> 송준행 / 통계청 고용통계과장
"(지난해 5월 기준) 외국인 상주 인구는 비전문취업, 전문인력 등에서 증가를 주도하여 전년보다 13만 명 증가한 156만1천 명이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광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45.6%로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비전문취업 근로자의 80.5%가 광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 수준은 200~300만 원 구간이 51.2%로 가장 많았습니다.
300만 원 이상은 37.1%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비전문취업 근로자의 약 98%가 월 200만 원 이상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의 한국 생활 만족도는 평균 4.3점으로 집계됐습니다.
체류 자격별로는 비전문취업 근로자가 4.4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차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외국인은 17.4%, 차별의 주요 이유로는 출신 국가와 한국어 능력 등이 꼽혔습니다.
외국인의 한국어 실력은 평균 3.4점이었는데, 특히 쓰기 실력이 3.2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778회) 클립영상
- 외교부 "민감국가 지정, 미 연구소 보안문제" 02:18
- OECD, 올해 한국 성장률 2.1→1.5% 하향 02:23
- 제11차 한일중 외교장관회의 22일 일본서 개최 00:44
-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점검···합동점검반 구성 02:13
- 비전문취업 외국인 30만 명···'월소득 200만 원 이상' 98% 01:55
- '고준위 특별법' 국무회의 의결···"처분시설 2060년 확보" 01:55
- 개발제한구역 내 전기차 충전기·태양광 시설 설치 완화 00:29
- 고속버스 주말·명절 '취소 수수료' 인상···"노쇼 방지" 02:47
- EU, 시리아 58억 유로 지원 약속 [글로벌 핫이슈] 05:50
- 오늘의 증시 (25. 03. 18. 16시) 00:57
- '미리 온 동행축제' 소상공인·전통시장 '숨통' [오늘의 이슈] 05:47
- "선 상호관세 후 양자협상" 한미 FTA 영향은? [경제&이슈]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