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중장년 재취업 문 열린다 [기획대담]
등록일 : 2025.03.20 11:41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고용노동부가 퇴직한 중장년층의 재취업을 돕기 위해 취업 지원 프로그램, '중장년 경력지원제'를 시행합니다.
중장년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직무교육과 직무수행 기회를 제공하는 건데요.

김현지 앵커>
이번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의 경력 전환과 재취업에 구체적으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고용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 고령사회인력정책과 최영범 과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최영범 /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과 과장)

김용민 앵커>
중장년 경력지원제가 마련된 이유부터 살펴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우선, 중장년층을 위한 경력전환 지원이 왜 필요하게 됐는지, 또 이번 제도가 어떤 내용으로 추진되는 건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기존에도 중장년을 대상으로 직업훈련과 같은 다양한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돼 왔는데요.
이번 중장년 경력지원제는 기존 사업과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이번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은 어떻게 될까요?
참여할 수 있는 대상과 기업의 조건은 무엇인지, 또 신청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그렇다면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중장년층과 기업에는 어떤 지원과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건가요?

김용민 앵커>
실무 경험이 실제 재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계나 협력 방안도 마련하고 계신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기회를 제공하는지, 사례와 함께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중장년 경력지원제가 기업 입장에서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걸까요?
중장년층을 채용하는 데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마련된 기업 지원책이 있다면 말씀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중장년층이 재취업 과정에서 가장 크게 부딪히는 장벽은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특히 실무 경험 부족이나 기업의 채용 기피, 직무 적응 문제 등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있다면 소개해 주시죠.

김현지 앵커>
이번 사업이 40대부터 60세 이후까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고용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연령대별로 어떤 차별화된 지원이 마련되어 있는지 알려주시죠.

김용민 앵커>
현재 중장년 경력지원제도가 전국 6개 지역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는데요, 앞으로 규모를 확대할 계획도 있으실까요?
또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 방안이 함께 추진될 예정인지 궁금합니다.

김현지 앵커>
정부가 50대 중장년층의 재취업 지원뿐 아니라, 60세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계속고용 제도화'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아는데요.
이 제도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인지 말씀해 주시죠.

김용민 앵커>
마지막으로, 중장년층이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정부가 마련하고 있는 장기적인 비전이나 계획이 있다면 함께 들려주시죠 .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고용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 고령사회인력정책과 최영범 과장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