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 만의 연금개혁···내고 받는 돈 어떻게 바뀌나?
등록일 : 2025.03.20 19:59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더 내고 더 받는' 방식의 국민연금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국민연금 제도 도입 이래 역대 세 번째이자, 18년 만의 연금개혁이 이뤄지는 건데요.
구체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바뀌는지, 정유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유림 기자>
18년 만에 맞는 연금개혁.
주된 내용은 내는 돈인 보험료율과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을 조정하는 '모수개혁'입니다.
우선 내는 돈인 연금 보험료율을 현재 9%에서 13%로, 내년부터 매년 0.5%포인트씩 8년간 인상합니다.
명목소득대체율은 내년부터 43%로 상향 조정합니다.
이에 따라 월 309만 원 급여를 받는 직장인일 경우 보험료율 13%가 적용되는 2033년이 되면 월 보험료는 27만8천 원에서 40만2천 원으로 12만 원가량 오릅니다.
절반은 회사가 내므로 가입자가 내는 돈은 6만2천 원가량 오르는 겁니다.
이 직장인이 은퇴 후 받을 첫 연금액은 132만 원으로 개혁 이전보다 약 9만 원 많습니다.
내년부터 보험료율이 오르는 국민연금 가입자에게만 해당되고 이미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은 예외로 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연금개혁과 기금수익률 제고 노력이 병행된다면 국민연금 기금 소진 시기를 15년 정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현행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유지할 경우 국민연금 기금이 2056년에 바닥날 것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출산과 군 복무 같은 특정 시기를 가입 기간으로 인정해 주는 '크레딧'도 확대됩니다.
출산 크레딧은 현행 둘째부터에서 첫째부터로 확대합니다.
이에 따라 첫째와 둘째는 각각 12개월씩, 셋째부터는 18개월씩 가입 기간을 인정합니다.
군 복무 크레딧은 현행 6개월에서 12개월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저소득 지역가입자에 대해선 12개월 동안 보험료 50%를 지원할 방침입니다.
국민연금법에 국가가 국민연금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지급을 보장하는 내용의 지급 보장 명문화도 이뤄졌습니다.
개정된 국민연금법은 하위법령 마련 등을 거쳐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정부는 이번 개정안 통과에 큰 의미를 부여하면서 환영했습니다.
복지부는 이번 연금개혁은 18년 만에 달성하는 역사적 성과로 오랜 기간 뜻을 모아준 국민께 감사드린다며 개정안을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김민지)
이어 향후 연금특위 등 논의체계에서 재정 안정화 조치 도입과 구조개혁 과제가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더 내고 더 받는' 방식의 국민연금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국민연금 제도 도입 이래 역대 세 번째이자, 18년 만의 연금개혁이 이뤄지는 건데요.
구체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바뀌는지, 정유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유림 기자>
18년 만에 맞는 연금개혁.
주된 내용은 내는 돈인 보험료율과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을 조정하는 '모수개혁'입니다.
우선 내는 돈인 연금 보험료율을 현재 9%에서 13%로, 내년부터 매년 0.5%포인트씩 8년간 인상합니다.
명목소득대체율은 내년부터 43%로 상향 조정합니다.
이에 따라 월 309만 원 급여를 받는 직장인일 경우 보험료율 13%가 적용되는 2033년이 되면 월 보험료는 27만8천 원에서 40만2천 원으로 12만 원가량 오릅니다.
절반은 회사가 내므로 가입자가 내는 돈은 6만2천 원가량 오르는 겁니다.
이 직장인이 은퇴 후 받을 첫 연금액은 132만 원으로 개혁 이전보다 약 9만 원 많습니다.
내년부터 보험료율이 오르는 국민연금 가입자에게만 해당되고 이미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은 예외로 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연금개혁과 기금수익률 제고 노력이 병행된다면 국민연금 기금 소진 시기를 15년 정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현행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유지할 경우 국민연금 기금이 2056년에 바닥날 것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출산과 군 복무 같은 특정 시기를 가입 기간으로 인정해 주는 '크레딧'도 확대됩니다.
출산 크레딧은 현행 둘째부터에서 첫째부터로 확대합니다.
이에 따라 첫째와 둘째는 각각 12개월씩, 셋째부터는 18개월씩 가입 기간을 인정합니다.
군 복무 크레딧은 현행 6개월에서 12개월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저소득 지역가입자에 대해선 12개월 동안 보험료 50%를 지원할 방침입니다.
국민연금법에 국가가 국민연금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지급을 보장하는 내용의 지급 보장 명문화도 이뤄졌습니다.
개정된 국민연금법은 하위법령 마련 등을 거쳐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정부는 이번 개정안 통과에 큰 의미를 부여하면서 환영했습니다.
복지부는 이번 연금개혁은 18년 만에 달성하는 역사적 성과로 오랜 기간 뜻을 모아준 국민께 감사드린다며 개정안을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김민지)
이어 향후 연금특위 등 논의체계에서 재정 안정화 조치 도입과 구조개혁 과제가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72회) 클립영상
- 18년 만의 연금개혁···내고 받는 돈 어떻게 바뀌나? 02:45
- 미 연준 기준금리 동결···"24시간 시장점검체계 유지" 02:09
- EU, 철강 수입 최대 15% 감축···한국도 영향 02:21
- 산업장관 방미···"민감국가 해제 등 대안 모색" 00:36
- 글로벌 무역 장벽 확산···"민관 협력으로 도약" 02:00
-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 종료···"연합방위태세 확인" 02:02
- 한미일, 올해 첫 해상훈련···핵 추진 항공모함 참가 02:00
- 지난해 혼인 건수 증가율 14.8% '역대 최대' [뉴스의 맥] 02:53
- 외래객 1천850만 명 목표···"관광 성장으로 내수 견인" 02:24
- 의대생 복귀시한 임박···"미복귀 시 학칙 따라 엄정 대응" 01:41
- '인공 시각 장치', AI로 개발 시간 줄이고 정확도 상승 02:08
-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 공고···3천 가구 규모 02:19
- 외국인도 '모바일 신분증'으로 은행 계좌 개설 01:19
- 러 군용기 '카디즈' 무단진입···러 국방무관 불러 항의 00:41
- 중기부, AI 우수 인재 양성 논의 00:28
- 롯데웰푸드-백년소상공인, 상생협약 체결 00:32
- '정신의료기관 환자 사망'에 대해 검찰 수사 의뢰 등 권고 01:06
- 공영주차장 내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화재안전성 강화 필요 00:52
- 자동차보험 비교·추천서비스 2.0이 시작됩니다 00:47
- 커피전문점 등 식품접객업소 식용 얼음 수거·검사 결과 발표 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