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개통 때 '얼굴'로 신분 확인···'대포폰' 차단
등록일 : 2025.03.24 20:18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보이스피싱 같은 전화금융사기에 활용되는 전화번호는, 대부분 명의를 도용한 이른바 '대포폰'인데요.
정부가 휴대전화 개통 때 본인 확인 절차를 한층 강화해, 대포폰 차단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010 국번의 번호로부터 걸려 온 전화.
한 남성이 등기 수령을 요구합니다.
녹취>
"000 씨 맞으시죠? 등기우편 때문에 연락드렸습니다."
방문 시간은 1시에서 2시 사이.
직장인의 직접 수령이 어려운 시간대입니다.
녹취> 보이스피싱범
"내일 직접 수령이 안되실 경우 온라인상으로 조회하셔서 확인은 가능하시거든요. 지금 혹시 인터넷 사용 가능하시면 조회하는 방법 안내 좀 해드릴까요."
링크 접속을 유도하는, 전형적인 보이스피싱 수법입니다.
지난해 발생한 보이스피싱은 2만여 건, 모두 8천545억 원을 털어갔습니다.
범죄에 대부분 대포폰이 이용되는데, 단속 과정에서 9만 5천 개 넘게 적발됐습니다.
앞으로 휴대전화 개통 때 본인확인 절차가 강화됩니다.
보이스피싱을 비롯한 금융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섭니다.
전화인터뷰> 왕안나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서비스지원팀장
"신분증 사진을 위조하거나 변조하는 방식으로 신분증을 도용하는 사례가 있기 때문에 신분증 사진의 진위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이 주민등록번호와 이름 등 문자 정보와 신분증 사진의 진위를 실시간으로 판별합니다.
이에 따라 신분증 위·변조를 통한 부정 개통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화된 본인확인 절차는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에 적용됩니다.
훼손된 신분증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손윤지)
정부는 앞으로 외국인등록증 등 적용 대상 신분증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보이스피싱 같은 전화금융사기에 활용되는 전화번호는, 대부분 명의를 도용한 이른바 '대포폰'인데요.
정부가 휴대전화 개통 때 본인 확인 절차를 한층 강화해, 대포폰 차단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010 국번의 번호로부터 걸려 온 전화.
한 남성이 등기 수령을 요구합니다.
녹취>
"000 씨 맞으시죠? 등기우편 때문에 연락드렸습니다."
방문 시간은 1시에서 2시 사이.
직장인의 직접 수령이 어려운 시간대입니다.
녹취> 보이스피싱범
"내일 직접 수령이 안되실 경우 온라인상으로 조회하셔서 확인은 가능하시거든요. 지금 혹시 인터넷 사용 가능하시면 조회하는 방법 안내 좀 해드릴까요."
링크 접속을 유도하는, 전형적인 보이스피싱 수법입니다.
지난해 발생한 보이스피싱은 2만여 건, 모두 8천545억 원을 털어갔습니다.
범죄에 대부분 대포폰이 이용되는데, 단속 과정에서 9만 5천 개 넘게 적발됐습니다.
앞으로 휴대전화 개통 때 본인확인 절차가 강화됩니다.
보이스피싱을 비롯한 금융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섭니다.
전화인터뷰> 왕안나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서비스지원팀장
"신분증 사진을 위조하거나 변조하는 방식으로 신분증을 도용하는 사례가 있기 때문에 신분증 사진의 진위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이 주민등록번호와 이름 등 문자 정보와 신분증 사진의 진위를 실시간으로 판별합니다.
이에 따라 신분증 위·변조를 통한 부정 개통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화된 본인확인 절차는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에 적용됩니다.
훼손된 신분증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손윤지)
정부는 앞으로 외국인등록증 등 적용 대상 신분증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74회) 클립영상
- 헌재, 한 총리 탄핵소추 기각···"파면 사유 안 돼" 01:50
- 대국민 담화 발표···"안정된 국정운영에 전력" 02:14
- 87일 만에 복귀···산불·통상대응 등 총력 03:25
- 마을 곳곳 폐허로···산청 산불 나흘째 02:05
- 산림 8천㏊ 소실···울산·경북·경남 특별재난지역 선포 02:38
- "불보다 아래쪽으로 대피"···산불 행동 요령 01:50
- 강남 3구·용산구 토지거래허가제 시행···갭투자 차단 02:15
- '의료 쇼핑' 막는다···과잉 비급여 95% 본인부담 02:04
- 66세 이상 상대적 빈곤율 40%···OECD서 가장 높아 01:53
- 휴대전화 개통 때 '얼굴'로 신분 확인···'대포폰' 차단 01:57
- '정전기'로 초미세먼지 제거···무필터 미세먼지 저감장치 02:24
- 4월 2일 재·보궐선거 선거 인수 462만908명 확정 00:30
- 야생 포유류 AI 확진···"인체 감염 여부 모니터링" 00:28
- "1년 중 산불 민원의 절반이 봄철에?"···민원주의보 발령 01:03
- 수입 불로초에 대한 검사명령 시행 00:40
- 빛과 음악으로 물든 '창덕궁 희정당' 야간 특별관람 00:52
- 시니어 맞춤형 과학체험 「과학으로 물들이기」 0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