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주민등록증 개시···지갑 없는 사회 실현되나
등록일 : 2025.03.25 14:5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모바일 주민등록증' 전국 발급이 시작됐습니다.
개인 스마트폰에 주민등록증을 발급 받는 건데요.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고 합니다.
김현지 앵커>
디지털 신분증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인 만큼,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가 찾아올지 궁금해지는데요.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행정안전부 디지털보안정책과 조원갑 과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조원갑 / 행정안전부 디지털보안정책과 과장)
김용민 앵커>
이젠 주민등록증도 모바일로 사용하는 시대가 도래했네요.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 '모바일 주민등록증' 먼저 어떤 취지로 추진하게 됐는지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작년 12월, 세종에서부터 시범적으로 발급해 안정성, 편의성을 검증했다고 들었습니다.
실제 사용했던 시민들의 반응은 어땠는지, 또 시범 발급 때와 비교해 개선된 사항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지 말씀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말씀을 들어보니 굉장히 편리하게 느껴지는데요.
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 받으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발급 방식과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김용민 앵커>
그렇다면 병원이나 은행 등에서 고객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제시했을 때, 신원확인자는 어떤 방법으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 할 수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보안성과 안전성을 크게 강화했다고 들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과 장치들이 적용됐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스마트폰 분실 시 저장된 사진이나 연락처 등으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큽니다.
그런데 신분증마저 스마트폰으로 사용한다면 그 위험이 더 커질 것 같은데요.
분실 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금융권에서는 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또 금융권뿐 아니라 앞으로 민간앱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고 들었는데요.
확대되는 사용처와 활용 방법, 함께 소개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으로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가장 크게 느끼게 될 변화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김용민 앵커>
마지막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기반으로 한 민간 서비스 확대나 추가적인 디지털 신분증 계획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행정안전부 디지털보안정책과 조원갑 과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전국 발급이 시작됐습니다.
개인 스마트폰에 주민등록증을 발급 받는 건데요.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고 합니다.
김현지 앵커>
디지털 신분증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인 만큼,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가 찾아올지 궁금해지는데요.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행정안전부 디지털보안정책과 조원갑 과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조원갑 / 행정안전부 디지털보안정책과 과장)
김용민 앵커>
이젠 주민등록증도 모바일로 사용하는 시대가 도래했네요.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 '모바일 주민등록증' 먼저 어떤 취지로 추진하게 됐는지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작년 12월, 세종에서부터 시범적으로 발급해 안정성, 편의성을 검증했다고 들었습니다.
실제 사용했던 시민들의 반응은 어땠는지, 또 시범 발급 때와 비교해 개선된 사항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지 말씀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말씀을 들어보니 굉장히 편리하게 느껴지는데요.
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 받으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발급 방식과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김용민 앵커>
그렇다면 병원이나 은행 등에서 고객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제시했을 때, 신원확인자는 어떤 방법으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 할 수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보안성과 안전성을 크게 강화했다고 들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과 장치들이 적용됐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스마트폰 분실 시 저장된 사진이나 연락처 등으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큽니다.
그런데 신분증마저 스마트폰으로 사용한다면 그 위험이 더 커질 것 같은데요.
분실 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금융권에서는 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또 금융권뿐 아니라 앞으로 민간앱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고 들었는데요.
확대되는 사용처와 활용 방법, 함께 소개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으로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가장 크게 느끼게 될 변화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김용민 앵커>
마지막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기반으로 한 민간 서비스 확대나 추가적인 디지털 신분증 계획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행정안전부 디지털보안정책과 조원갑 과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66회) 클립영상
- 의성 산불 산림청 브리핑 (25. 3. 25. 09시) 03:14
- 산림 1만㏊ 소실···울산·경북·경남 특별재난지역 선포 02:31
- 경북 의성 산불현장 방문···긴급 NSC 주재 01:47
- 전국 곳곳 산불 '비상' 울주·의성·하동 특별재난지역 06:25
- 87일 만에 복귀, "안정된 국정 운영에 전력" 22:34
- 제13회 국무회의 모두발언 08:34
- 러-우, 휴전 협상 중 공습 지속 [월드 투데이] 05:00
- 모바일 주민등록증 개시···지갑 없는 사회 실현되나 13:25
- 2026년 수능 시행 기본계획 발표 08:19
- 의성 산불 안동으로 확산···국가 소방동원령 추가 발령 02:06
- 한 권한대행 "미국발 관세 폭풍 돌파에 모든 역량" 00:27
- 한미 관세 협의 지속···민감국가 해제 실무협의 착수 01:29
- 강남 3구·용산구 토지거래허가제 시행···갭투자 차단 02:12
- 66세 이상 상대적 빈곤율 40%···OECD서 가장 높아 01:44
- 휴대전화 개통 때 '얼굴'로 신분 확인···'대포폰' 차단 01:59
- '고교학점제' 출결 관리 개선···교사 업무 부담 줄여 [정책 바로보기] 0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