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실화자도 최대 3년 징역형···'각별한 주의' 필요
등록일 : 2025.03.27 12:3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이번 산불은 성묘객 실수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실수로 산불을 낸 경우에도 처벌이 무거운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임보라 기자가 산불 예방법을 전해드립니다.
임보라 기자>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산불 원인으로 소각이 가장 많았고, 담배꽁초와 임야 태우기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절반 이상 사람의 실수로 산불이 발생한 겁니다.
녹취> 문현철 /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
"쓰레기를 태운달지 성묘 가서 묘지를 손질하면서 불을 붙인달지 이런 위험한 행위를 하게 되는데 건조 강풍이 불 때 이런 위험한 행위로 인해서 어마어마한 초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지난 몇 년 사이 실화자에 대한 처벌 수위도 강화됐습니다.
현행 산림보호법에 따르면 실수로 산불을 낸 사람은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형에 처합니다.
민사상 산림 피해와 진화 비용에 대한 배상 책임을 질 수도 있습니다.
산림 당국은 건조하고 강풍이 부는 날씨엔 입산 시 작은 불씨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산과 가까운 곳에선 쓰레기나 영농 부산물을 소각해선 안됩니다.
성묘 시에도 라이터 등 화기물은 가져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산속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담배꽁초를 버리다 적발되면 3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또, 산행 시엔 허용 구역에서만 취사나 야영을 즐길 수 있고 화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불이 꺼졌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임보라입니다.
이번 산불은 성묘객 실수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실수로 산불을 낸 경우에도 처벌이 무거운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임보라 기자가 산불 예방법을 전해드립니다.
임보라 기자>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산불 원인으로 소각이 가장 많았고, 담배꽁초와 임야 태우기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절반 이상 사람의 실수로 산불이 발생한 겁니다.
녹취> 문현철 /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
"쓰레기를 태운달지 성묘 가서 묘지를 손질하면서 불을 붙인달지 이런 위험한 행위를 하게 되는데 건조 강풍이 불 때 이런 위험한 행위로 인해서 어마어마한 초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지난 몇 년 사이 실화자에 대한 처벌 수위도 강화됐습니다.
현행 산림보호법에 따르면 실수로 산불을 낸 사람은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형에 처합니다.
민사상 산림 피해와 진화 비용에 대한 배상 책임을 질 수도 있습니다.
산림 당국은 건조하고 강풍이 부는 날씨엔 입산 시 작은 불씨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산과 가까운 곳에선 쓰레기나 영농 부산물을 소각해선 안됩니다.
성묘 시에도 라이터 등 화기물은 가져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산속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담배꽁초를 버리다 적발되면 3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또, 산행 시엔 허용 구역에서만 취사나 야영을 즐길 수 있고 화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불이 꺼졌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임보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68회) 클립영상
- 의성 산불 산림청 브리핑 (25. 3. 27. 09시) 05:40
- 밤샘 산불진화 작업···'서울시 절반 면적' 영향 02:28
- 오늘 전국에 비···산불 잡는 '단비' 될까? 02:07
- 산불 실화자도 최대 3년 징역형···'각별한 주의' 필요 01:34
- 안동 산불 확산에 안동교도소 수용자 이송 00:24
- 기후변화로 '산불 연중화'···조심기간 외 산불 28% 05:39
- "역대 최악의 산불" 진화에 총력 24:14
- 트럼프, 컬럼비아대 예산 삭감···시위 열려 [월드 투데이] 04:36
- 2025 경주 APEC···한국의 멋·첨단기술 알린다 18:09
- 밤샘 산불진화 작업···'서울시 절반 면적' 영향 02:54
- "업계와 헙력···가공식품 물가 안정에 최선" [정책 바로보기] 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