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호관세·의대 교육 정상화···"이번 주가 분수령"
등록일 : 2025.03.31 11:34
미니플레이
박성욱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했던 상호관세가 이번 주 베일을 벗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와 의학교육계가 예고했던 최종 복귀 시한이 오늘인데요, 이번 주 분수령이 될 통상과 의료계 현안, 이종훈 시사평론가와 자세히 짚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이종훈 / 시사평론가)
박성욱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가 이번주 확정된 내용이 발표되고, 곧 발효됩니다,
"더 세게 나가라" 강경 대응을 주문했다구요?
박성욱 앵커>
미국의 무차별 관세 정책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가 무력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박성욱 앵커>
품목별 관세로 자동차도 관세가 발표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차량가격 인상도 "신경쓰지 않는다"는 입장인데, 자동차는 우리에게는 대미 수출 1위 품목입니다.
철강에 이어 자동차까지 기업들의 부담이 커졌습니다?
박성욱 앵커>
결국 관세를 내지 않으려면 미국에서 생산하라는 의미로 보입니다.
미국에 31조를 투자하기로 한 현대자동차그룹에는 백악관에 초대하고, "관세는 없다"고 했죠?
박성욱 앵커>
한덕수 권한대행은 복귀 후 본격적으로 통산전쟁 대응에 나섰습니다.
경제 안보 TF를 직접 주재하고, 경제단체장들과 직접 만나 현안을 점검하고 있죠?
박성욱 앵커>
이와 관련해 정부가 추가경정 예산 추진을 공식화 했습니다.
산불 피해와 함께 통상리스크를 줄이겠다는 건데요, 관련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박성욱 앵커>
정부는 10조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다음 달 국회 통과를 목표로 제시했죠?
박성욱 앵커>
미국발 관세 전쟁속에 한중일 3국 경제통상장관들이 5년여 만에 한자리에 모여 3국 간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고 경제·통상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박성욱 앵커>
주제 바꿔보겠습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으로 동결하는 조건으로 제시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오늘까지입니다.
주요 대학 의대생들이 속속 복귀했죠?
박성욱 앵커>
의대생들의 학교로 복귀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오는 31일까지 등록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들이 제적 처리에 돌입할 전망인데요.
문제는 복귀한 의대생들의 정상 수업 여부에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박성욱 앵커>
정부는 예정했던 시한, 오늘까지 의대생 복귀 여부에 따라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어떻게 결정될까요?
박성욱 앵커>
의대생들이 속속 학교로 돌아오면서 지난해 2월 수련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는데요, 전공의 복귀로 이어질까요?
박성욱 앵커>
의대교육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앞으로 정부와 의료계간의 대화가 이어지지 않을까 기대가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의료 정상화에도 전환점이 될까요?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이종훈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했던 상호관세가 이번 주 베일을 벗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와 의학교육계가 예고했던 최종 복귀 시한이 오늘인데요, 이번 주 분수령이 될 통상과 의료계 현안, 이종훈 시사평론가와 자세히 짚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이종훈 / 시사평론가)
박성욱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가 이번주 확정된 내용이 발표되고, 곧 발효됩니다,
"더 세게 나가라" 강경 대응을 주문했다구요?
박성욱 앵커>
미국의 무차별 관세 정책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가 무력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박성욱 앵커>
품목별 관세로 자동차도 관세가 발표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차량가격 인상도 "신경쓰지 않는다"는 입장인데, 자동차는 우리에게는 대미 수출 1위 품목입니다.
철강에 이어 자동차까지 기업들의 부담이 커졌습니다?
박성욱 앵커>
결국 관세를 내지 않으려면 미국에서 생산하라는 의미로 보입니다.
미국에 31조를 투자하기로 한 현대자동차그룹에는 백악관에 초대하고, "관세는 없다"고 했죠?
박성욱 앵커>
한덕수 권한대행은 복귀 후 본격적으로 통산전쟁 대응에 나섰습니다.
경제 안보 TF를 직접 주재하고, 경제단체장들과 직접 만나 현안을 점검하고 있죠?
박성욱 앵커>
이와 관련해 정부가 추가경정 예산 추진을 공식화 했습니다.
산불 피해와 함께 통상리스크를 줄이겠다는 건데요, 관련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박성욱 앵커>
정부는 10조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다음 달 국회 통과를 목표로 제시했죠?
박성욱 앵커>
미국발 관세 전쟁속에 한중일 3국 경제통상장관들이 5년여 만에 한자리에 모여 3국 간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고 경제·통상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박성욱 앵커>
주제 바꿔보겠습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으로 동결하는 조건으로 제시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오늘까지입니다.
주요 대학 의대생들이 속속 복귀했죠?
박성욱 앵커>
의대생들의 학교로 복귀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오는 31일까지 등록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들이 제적 처리에 돌입할 전망인데요.
문제는 복귀한 의대생들의 정상 수업 여부에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박성욱 앵커>
정부는 예정했던 시한, 오늘까지 의대생 복귀 여부에 따라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어떻게 결정될까요?
박성욱 앵커>
의대생들이 속속 학교로 돌아오면서 지난해 2월 수련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는데요, 전공의 복귀로 이어질까요?
박성욱 앵커>
의대교육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앞으로 정부와 의료계간의 대화가 이어지지 않을까 기대가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의료 정상화에도 전환점이 될까요?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이종훈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70회) 클립영상
- 경북·경남·울산 산불 제10차 중대본 회의 05:10
- 산불 피해 이재민 지원···이 시각 의성 대피소 02:57
- 경북·경남 산불 주불 진화···"일상회복 총력 지원" 02:05
- 산불 현장에 이어지는 자원봉사·구호의 손길 01:49
- '10조 필수 추경' 추진···산불·통상·민생 집중 01:38
- 생산·투자·소비 17개월 만에 '트리플 증가' 00:27
- 2월 서울 아파트 매매 전월대비 46.7% 증가 00:37
- '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 4월부터 개방···사전 신청 시작 01:46
- 퇴직연금 수익률 2%대···기금형 연금 도입 추진 01:55
- 오늘의 날씨 (25. 03. 31. 10시) 00:52
- "10조 원 추경 추진"···일상 회복에 총력 지원 19:17
- 미, 중국 방어 위해 일본과 동맹 [월드 투데이] 05:25
- 미 상호관세·의대 교육 정상화···"이번 주가 분수령" 15:56
- 산불 피해 이재민 지원···이 시각 의성 대피소 03:04
- 농업인 지원·이재민 구호···"피해 복구 최우선" 01:44
- '통상전쟁 확전'···정부, 수출 현장 점검 01:59
- "벼 재배면적 줄더라도 여전히 공급 과잉" [정책 바로보기] 0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