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10조 원 추경 추진"···일상 회복에 총력 지원
등록일 : 2025.03.31 11:33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경북과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이 역대급 피해를 남겼습니다.
지난 30일, 213시간 만에 산청 산불의 주불이 진화되면서 긴 산불 사태가 일단락됐는데요.

김현지 앵커>
정부는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10조 원 규모의 추경을 추진하며,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한 총력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살펴보겠습니다.
박성욱 앵커.

박성욱 앵커>
네,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산불 피해 복구와 향후 대책에 대해 건국대학교 소방방재융합학과 이향수 교수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출연: 이향수 / 건국대학교 소방방재융합학과 교수)

박성욱 앵커>
우선, 열흘간 이어졌던 산청 산불이 30일 오후 주불 진화 판정을 받았습니다.
주말동안 내렸던 눈과 비에 영향이 있던 걸까요?

박성욱 앵커>
이번 산불 진화과정을 통해 반드시 얻어야할 뼈아픈 교훈도 있습니다.
한 가지씩 짚어 보면요. 우선 헬기 문제입니다.

박성욱 앵커>
또 하나 지적된 부분은 '임도' 문제입니다.
산불 진화 대원들이 특히 어려움을 겪은 이유 중 하나가 산속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이 부족했기 때문인데요.
임도가 확보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사이에 진화 속도에 큰 차이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박성욱 앵커>
이번 산불에서도 초기 불씨를 완전히 잡지 못해 확산으로 이어졌는데요, '비화현상'이 산불확산에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박성욱 앵커>
산불 확산 속도가 매우 빨랐던 상황이었는데요, 정부와 소방당국은 어떤 방식으로 진화 인력과 장비를 투입해 대응했는지, 또 향후 대형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할지 평가해주시죠.

박성욱 앵커>
산림청이 펌프차 호스를 산 중턱까지 연결하는 등 이례적인 대응을 했다고 하는데요?

박성욱 앵커>
이번 산불 진화에 군의 역할이 상당히 컸다고 하는데요, 실제 어떤 방식으로 지원이 이뤄졌고, 현장에서는 어떤 기여를 했는지 설명해주시죠

박성욱 앵커>
이번 산불로 국가유산 피해도 심각하다고 합니다.
현장접근 조차 어려웠다고 하는데요?

박성욱 앵커>
산불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도 했는데요.
특별재난지역 선정 시 국비 등 지원체제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해주시죠.

박성욱 앵커>
기후변화로 인해 이제 우리나라도 대형 산불의 시작 단계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실제로 그렇게 볼 수 있을까요?

박성욱 앵커>
산불 원인의 상당수가 부주의에서 비롯된다는데요, 꼭 기억해야 할 예방 수칙이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