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사망자 3천 명 달해 [월드 투데이]
등록일 : 2025.04.02 11:33
미니플레이
박유진 외신캐스터>
월드투데이입니다.
1. 강진 사망자 3천 명 달해
최근 대지진으로 인한 참사를 겪고 있는 미얀마에서 3천 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앞으로 더 늘어날 거라는 보도가 나오는데요.
지난 1일, 유엔 인도주의 업무조정 사무소에 따르면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지진으로 현재까지 2,700명 이상이 사망하고 4,5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주요 교량과 도로를 포함한 중요 인프라가 심각하게 손상됐는데요.
전기와 통신이 거의 중단된 상황이지만 여전히 구조 전문가 팀은 잔해에 갇힌 사람들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녹취> 멜리사 하인 / 미얀마 WFP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현재 사망자는 3천 명에 달하며, 부상자와 실종자가 수천 명 있습니다. 엄청난 참사입니다. 건물은 잔해로 변했고, 집은 파괴됐고, 도로와 기타 인프라가 심히 손상되었습니다. 많은 지역에서 여전히 전기 공급이 중단되었고, 전화 통신은 불안정한 연결이 최선입니다. 병원도 파괴되었고, 깨끗한 물도 부족합니다."
한편, 사망자 수는 1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데요.
미얀마 군사 정부는 국가 애도기간을 선포했습니다.
2. 미얀마, 물·의약품 가장 시급
지난 100년 동안 가장 큰 지진 참사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로 상황이 심각한 미얀마에서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은 물과 의약품입니다.
지난 1일, 미얀마 구호 단체는 2,700명 이상이 사망한 지진 이후의 황폐함과 절망감을 묘사하면서 식량과 물, 그리고 쉼터가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물과 의약품이 부족하다고 호소했는데요.
이로 인해 한 명이라도 더 많은 사람을 살릴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마르콜루이지 코르시 / 미얀마 거주자
"인명 피해는 파괴적이며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지진의 영향을 받은 지역을 떠났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습니다."
녹취> 줄리아 리스 / 유니세프 부대표
"매우 절박합니다. 저는 토요일에 그곳에 있었는데,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것은 물이었습니다. 그곳은 정말 더웠습니다. 흐르는 물도 사용할 수 없고, 식수도 없습니다."
한편, 미얀마 정부 당국은 실종자 대부분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그들이 살아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절망적인 내용을 전한 바 있습니다.
3. 희귀 붉은색 다이아몬드 공개
지구에서 가장 희귀한 보석 중 하나인 붉은 다이아몬드가 새롭게 공개됐습니다.
지난 1일, 미국 워싱턴DC의 스미스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 보석 컬렉션에 붉은 다이아몬드가 추가됐습니다.
이 붉은 다이아몬드는 2.33캐럿의 주홍색 다이아몬드인데요.
윈스턴 레드 다이아몬드와 윈스턴 팬시 컬러 다이아몬드 컬렉션의 일부입니다.
이 컬렉션의 대표작인 이 붉은 다이아몬드는 2,500만 개 중 1개꼴로 발견될 정도로 매우 희귀합니다.
녹취> 커크 존슨 / 스미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 관계자
"다이아몬드는 원래 희귀하지만, 색깔 다이아몬드는 엄청나게 희귀합니다. 그리고 이 컬렉션은 무지개 전체의 색상을 나타냅니다. '대체 누가 빨강, 보라, 주황, 초록, 분홍, 검정 등 다이아몬드의 색깔에 신경을 쓰나?' 싶겠지만, 사실 이는 지구 깊은 곳에서 탄생한 것이며, 우리 행성의 역사를 알려줍니다."
한편, 현재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서는 붉은 다이아몬드뿐만 아니라 청록색에서 분홍색에 이르기까지 무려 40가지의 색깔 다이아몬드를 만나볼 수 있다고 하네요!
지금까지 월드투데이였습니다.
월드투데이입니다.
1. 강진 사망자 3천 명 달해
최근 대지진으로 인한 참사를 겪고 있는 미얀마에서 3천 명에 달하는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앞으로 더 늘어날 거라는 보도가 나오는데요.
지난 1일, 유엔 인도주의 업무조정 사무소에 따르면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지진으로 현재까지 2,700명 이상이 사망하고 4,5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주요 교량과 도로를 포함한 중요 인프라가 심각하게 손상됐는데요.
전기와 통신이 거의 중단된 상황이지만 여전히 구조 전문가 팀은 잔해에 갇힌 사람들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녹취> 멜리사 하인 / 미얀마 WFP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현재 사망자는 3천 명에 달하며, 부상자와 실종자가 수천 명 있습니다. 엄청난 참사입니다. 건물은 잔해로 변했고, 집은 파괴됐고, 도로와 기타 인프라가 심히 손상되었습니다. 많은 지역에서 여전히 전기 공급이 중단되었고, 전화 통신은 불안정한 연결이 최선입니다. 병원도 파괴되었고, 깨끗한 물도 부족합니다."
한편, 사망자 수는 1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데요.
미얀마 군사 정부는 국가 애도기간을 선포했습니다.
2. 미얀마, 물·의약품 가장 시급
지난 100년 동안 가장 큰 지진 참사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로 상황이 심각한 미얀마에서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은 물과 의약품입니다.
지난 1일, 미얀마 구호 단체는 2,700명 이상이 사망한 지진 이후의 황폐함과 절망감을 묘사하면서 식량과 물, 그리고 쉼터가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물과 의약품이 부족하다고 호소했는데요.
이로 인해 한 명이라도 더 많은 사람을 살릴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마르콜루이지 코르시 / 미얀마 거주자
"인명 피해는 파괴적이며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지진의 영향을 받은 지역을 떠났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습니다."
녹취> 줄리아 리스 / 유니세프 부대표
"매우 절박합니다. 저는 토요일에 그곳에 있었는데,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것은 물이었습니다. 그곳은 정말 더웠습니다. 흐르는 물도 사용할 수 없고, 식수도 없습니다."
한편, 미얀마 정부 당국은 실종자 대부분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그들이 살아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절망적인 내용을 전한 바 있습니다.
3. 희귀 붉은색 다이아몬드 공개
지구에서 가장 희귀한 보석 중 하나인 붉은 다이아몬드가 새롭게 공개됐습니다.
지난 1일, 미국 워싱턴DC의 스미스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 보석 컬렉션에 붉은 다이아몬드가 추가됐습니다.
이 붉은 다이아몬드는 2.33캐럿의 주홍색 다이아몬드인데요.
윈스턴 레드 다이아몬드와 윈스턴 팬시 컬러 다이아몬드 컬렉션의 일부입니다.
이 컬렉션의 대표작인 이 붉은 다이아몬드는 2,500만 개 중 1개꼴로 발견될 정도로 매우 희귀합니다.
녹취> 커크 존슨 / 스미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 관계자
"다이아몬드는 원래 희귀하지만, 색깔 다이아몬드는 엄청나게 희귀합니다. 그리고 이 컬렉션은 무지개 전체의 색상을 나타냅니다. '대체 누가 빨강, 보라, 주황, 초록, 분홍, 검정 등 다이아몬드의 색깔에 신경을 쓰나?' 싶겠지만, 사실 이는 지구 깊은 곳에서 탄생한 것이며, 우리 행성의 역사를 알려줍니다."
한편, 현재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서는 붉은 다이아몬드뿐만 아니라 청록색에서 분홍색에 이르기까지 무려 40가지의 색깔 다이아몬드를 만나볼 수 있다고 하네요!
지금까지 월드투데이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72회) 클립영상
- 모레 11시, 윤 대통령 탄핵 선고 "일반인 방청·생중계" 01:49
- 한 권한대행 "헌재 선고 전후 치안질서 유지에 최선" 00:31
- 미 상호관세, 내일 새벽 5시 발표···즉시 효력 00:23
- 미국 상호관세 조치 임박···경제안보전략TF 출범 01:59
-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본격 가동 00:29
-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1%···3개월 연속 2%대 상승 00:24
- '중증·급여' 중심 개편···실손보험료 최대 50%↓ 02:52
- 지난해, 관측 이래 가장 더워···'이상기후' 속출 02:45
- GTX-A 1년 새 771만 명 이용···수도권 출퇴근 30분대 실현 02:41
- 국가 물관리 플랫폼 '물모아'···흩어진 물정보 통합 01:47
- 오늘의 날씨 (25. 04. 02. 10시) 00:57
-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법 개정안 공포 20:06
- 강진 사망자 3천 명 달해 [월드 투데이] 03:59
- "제2 요소수 대란 막는다" 공급망 안정화 전략은? 15:05
- "유형·연령별 '재난피해 통계' 관리…'재해연보' 통해 공표" [정책 바로보기] 02:47
- 신 출입국·이민정책 진행 상황 발표 10:01
- "산불 피해 지역 약 4천억 원 투입···추경 논의해야" 0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