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케이푸드 플러스' 1분기 수출 31억8천만 달러···전년비 7.9%↑
등록일 : 2025.04.03 20:33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농식품·산업 분야를 아우르는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 1분기 잠정 수출액은 31억8천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8% 가까이 증가했는데요.
특히, 지난해 같은 기간 최고 실적을 기록했던 농식품 수출액은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최유경 기자>
농식품과 농산업 분야를 아우르는 '케이푸드 플러스'.
3월 말까지의 잠정치 기준, 올 1분기 수출액은 31억8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9% 증가했습니다.
특히 식품 분야는 24억8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9.6% 증가하며, 지난해 기록한 1분기 수출 최고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최유경 기자 ch01yk@korea.kr
"가공식품 중에선 라면 수출액이 3억4천4백만 달러, 소스류가 1억1백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각각 27.3%, 9.1% 늘었습니다."

세계적으로 매운맛 유행이 확산하면서, 이들 품목이 수출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신선식품 중에서는 포도와 닭고기를 위주로 수출 실적이 두드러졌습니다.
농산업 분야 수출도 호조를 보였습니다.
1분기 수출 실적은 7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 늘었습니다.
동물용의약품 수출액은 전년보다 60.8% 증가했고, 농약, 종자 등 품목 실적도 올랐습니다.

전화 인터뷰> 한우리 / 농식품부 농산업수출진흥과 사무관
"우리 동물약품이 고품질을 바탕으로 유럽과 중동에서 우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이번에 크게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이 되고 있고요. 그 외에도 농약이 지난해에 이어서 남미 지역에서 수출 상승세를 이어가고 33.7% 성장했습니다."

한편, 미국 관세 부과로 케이푸드 수출에 제동이 걸릴 우려가 커지는 상황.
민관이 협력해 관세 리스크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전화 인터뷰> 이은희 /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미국 현지에서 직접 생산할 경우에는 이런 관세 폭탄을 피해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식품 대기업들도 미국에서 생산 시설을 임대하거나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을 기업과 정부가 같이 협력해서 적극적으로 알아보면 좋겠다..."

정부는 "올해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 목표 달성을 위해 대외 리스크 대응을 강화하면서 국내 기업 수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상취재: 이기환, 김은아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