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K푸드 수출 비상···민관 함께 '미 관세 대응책' 모색
등록일 : 2025.04.09 08:53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올해 1분기 농식품 수출액이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수출에 제동이 걸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수출기업들과 만나 관세 대응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최유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유경 기자>
올 1분기 케이푸드 수출액이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수출 효자' 노릇을 한 라면.
최근 3년간 라면 수출액은 꾸준히 늘어, 지난해 12억 4천만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최유경 기자 ch01yk@korea.kr
"이중 미국이 차지하는 수출액 비중도 함께 증가했습니다. 2022년부터 해를 넘기며 10%, 13%, 17%까지 늘었습니다. 지난해 21%를 차지한 중국에 이어, 미국이 두 번째로 컸습니다."

주 수출국인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한국에 25% 관세 부과에 나서며 케이푸드 수출에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

(장소: aT센터, 8일)

농식품부는 미 관세 대응을 위한 간담회를 열고 국내 수출기업들과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는 송미령 장관과 삼양, CJ제일제당 등 미국으로 농식품 등을 수출하는 16개 기업·단체가 참석했습니다.
송 장관은 "케이푸드 수출액이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한 것은 민관이 원팀으로 노력한 결과"라며, 이번 관세의 파고도 함께 넘을 것을 당부했습니다.

녹취> 송미령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우리가 수출 원팀이다, 라고 해서 작년 1년 동안 잘 버텼고 지금까지도 잘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닥쳐온 새로운 환경에 대해서도 서로 협력하고 아이디어를 잘 내고 한다면 이 파고도 잘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기업의 관세 대응력 강화를 위해 원료구매 자금을 추가로 지원하고, 농식품 수출바우처와 수출보험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시장 다변화를 위해 유통업체 연계 판촉과 현지 박람회 참가 등 마케팅 강화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한편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현지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전화인터뷰> 이은희 /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명예교수
"다른 식품 대기업들도 미국에서 생산 시설을 임대하거나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을 기업과 정부가 협력해서 적극적으로 알아보면 좋겠다..."

정부는 올해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액 140억 달러 목표 달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구자익 김은아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강은희)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