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자동차 관세 대응···정책금융·전기차 보조금 확대
등록일 : 2025.04.09 19:59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가 부과되는데,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만큼 특히 피해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가 국내 자동차 업계를 위한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했는데요.
이 소식은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미국 정부의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조치로 국내 완성차 수출에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수출 감소 규모가 10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완성차 수출이 줄면 부품업체도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5월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25% 관세가 부과됩니다.
전화인터뷰> 김필수 /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심대한 영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전체 수출품에 자동차 같은 경우는 거의 과반이 미국으로 집중돼 있고, 부품도 집중도가 더 높습니다. 그런 상태에서 관세 25%, 이 부품까지 포함된다면 심각한 타격을 받아서 현대차 그룹 같은 경우에도 수조 원에서 최대 10조 원 정도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어요."
정부가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책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국내 자동차 수요를 확대합니다.
전기차의 경우 제조사 할인액에 비례한 정부 보조금을 상향합니다.
신차 개별소비세 탄력세율은 추가 지원을 검토 중입니다.
글로벌 신시장 개척에도 나섭니다.
올해 2천400억 원 배정된 수출 바우처를 1천억 원 이상 확대하고 수출 촉진 제도는 올해 연말까지 연장 운영합니다.
무역보험 한도 2배 확대, 단기 수출보험료 60% 할인 등이 포함됐습니다.
녹취>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작년 말 발효된 한-필리핀 FTA, 연내 발효 목표인 한-UAE, 에콰도르 협정 등을 신시장 개척 돌파구로 활용하겠습니다."
또 자동차 부품업계 금융지원을 강화합니다.
올해 13조 원이 배정된 자동차산업 정책금융은 15조 원으로 늘렸습니다.
관세 피해 기업에는 법인세·소득세 등의 납부기한을 최대 9개월 연장합니다.
아울러 현대·기아차는 정책금융기관과 협력해 1조 원 규모 상생 프로그램을 가동합니다.
(영상그래픽: 강은희 / 영상편집: 정성헌)
이를 통해 협력업체에 대한 대출·보증 등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가 부과되는데,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만큼 특히 피해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가 국내 자동차 업계를 위한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했는데요.
이 소식은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미국 정부의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조치로 국내 완성차 수출에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수출 감소 규모가 10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완성차 수출이 줄면 부품업체도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5월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25% 관세가 부과됩니다.
전화인터뷰> 김필수 /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심대한 영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전체 수출품에 자동차 같은 경우는 거의 과반이 미국으로 집중돼 있고, 부품도 집중도가 더 높습니다. 그런 상태에서 관세 25%, 이 부품까지 포함된다면 심각한 타격을 받아서 현대차 그룹 같은 경우에도 수조 원에서 최대 10조 원 정도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어요."
정부가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책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국내 자동차 수요를 확대합니다.
전기차의 경우 제조사 할인액에 비례한 정부 보조금을 상향합니다.
신차 개별소비세 탄력세율은 추가 지원을 검토 중입니다.
글로벌 신시장 개척에도 나섭니다.
올해 2천400억 원 배정된 수출 바우처를 1천억 원 이상 확대하고 수출 촉진 제도는 올해 연말까지 연장 운영합니다.
무역보험 한도 2배 확대, 단기 수출보험료 60% 할인 등이 포함됐습니다.
녹취>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작년 말 발효된 한-필리핀 FTA, 연내 발효 목표인 한-UAE, 에콰도르 협정 등을 신시장 개척 돌파구로 활용하겠습니다."
또 자동차 부품업계 금융지원을 강화합니다.
올해 13조 원이 배정된 자동차산업 정책금융은 15조 원으로 늘렸습니다.
관세 피해 기업에는 법인세·소득세 등의 납부기한을 최대 9개월 연장합니다.
아울러 현대·기아차는 정책금융기관과 협력해 1조 원 규모 상생 프로그램을 가동합니다.
(영상그래픽: 강은희 / 영상편집: 정성헌)
이를 통해 협력업체에 대한 대출·보증 등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86회) 클립영상
- 상호관세 발효···통상본부장 "미국과 원만히 협의" 02:13
- 한미, 첫 정상 통화···"무역균형 장관급 협의" 01:47
- "통상위기 대응 강화···정책금융 2조 원 추가 공급" 02:24
- 미 자동차 관세 대응···정책금융·전기차 보조금 확대 02:10
- 중형조선사 RG 발급 규모 확대···유턴 기업 보조금 상향 [뉴스의 맥] 03:54
- 중앙선관위원장 "공정 선거 관리···투·개표 절차 공개" 02:12
- 3월 취업자 19만3천 명 증가···3개월째 상승 01:51
-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이번 달, 토허제 여파 분수령" 02:10
- 차세대 교통수단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추진 01:39
-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순항···중증수술 35%↑ 02:05
-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 5개월···채무조정 4만4천여 건 02:05
- 여름철 사전대비 점검 TF···풍수해·산불 2차 피해 대응 02:01
- 법무부, 14일부터 불법체류 외국인 합동단속 00:39
- 경제부총리, 예산 스마트 과수원 찾아 재해예방시설 점검 00:34
- 전통시장에서도 우리 농산물 20% 할인 받으세요 00:56
- 중소기업의 수출 물류비용 부담 완화를 지원합니다. 00:43
- 궁 밖을 나온 수문장, 케이팝 음악에 맞춰 행렬한다 00:49
- 이색 공간에서 즐기는 '별'난 콘서트 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