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이상기후 발생 현황과 대책은?
등록일 : 2025.04.11 11:06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작년 여름, 사상 최악의 폭염이 한반도를 뒤덮으면서 유난히 더웠는데요.
2024년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피부로 와닿던 해였습니다.
이처럼 폭염과 예상치 못한 대설 등 이상기후는 이제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데요.

김현지 앵커>
정부가 이러한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분석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기상청 기후정책과 원재광 과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원재광 / 기상청 기후정책과 과장)

김용민 앵커>
앞서 말한 '이상기후 보고서'를 매년 발간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구체적인 소개와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2024년은 '무더위'가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였는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1973년 이후 여름철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해로 기록되었다고요?

김용민 앵커>
폭염과 열대야로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뿐만 아니라 장마철에 집중된 강수 등으로 농작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데요.
기후변화로 인해 어떤 영향이 있었나요?

김현지 앵커>
반복되는 무더위로 해수면온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해수면온도가 어느 정도 올랐고, 이상고수온으로 해양생물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그렇다면 이런 폭염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장마철에는 전국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았고 특히 여름철 강수량 중 대부분이 장마철에 집중되었다고 하는데요.
장마철 강수량이 어느 정도였나요?

김용민 앵커>
이렇게 장마철에 강수량이 집중되는 것도 이상기후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농작물이나 가축 피해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어떻습니까?

김용민 앵커>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대응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끝으로 향후 계획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기상청 기후정책과 원재광 과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