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유예 연장 질문에 "그때 가서 보자"
등록일 : 2025.04.11 20:28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으로 90일 뒤에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에 대해, 확답이 아닌 '열린 답변'을 내놨습니다.
일단 개별 국가와의 협상 결과를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현지시간 9일 중국을 제외한 교역국에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중국을 상대로 재차 상호관세율을 높이며 화력을 집중하는 대신, 다른 나라에는 10% 기본 관세만 적용하기로 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90일 후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할 수 있냐는 질문에 그때 가서 상황을 지켜보자며 '열린 답변'을 했습니다.
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을 열어둔 셈입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그때 가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다만, 90일 상호관세 유예 기간 중 각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당초 책정한 상호관세율로 돌아갈 것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일단 개별 국가와 협상 결과를 지켜보고 관세 유예 연장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국가안보 차원에서 미국의 조선업을 재건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과거 하루 한 척 만들던 배를 이제는 1년에 한 척도 생산하지 못할 정도로 뒤처진 상황이라며 조선업 부활을 위해 많은 돈을 쓰겠다고 언급했습니다.
특히, 조선업에 특화된 국가들과 거래할 수 있고, 최첨단 선박을 주문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세계 1위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 조선업계와 협력할 가능성도 주목됩니다.
지난 8일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첫 통화에서 한미 협력 분야로 조선업을 언급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한 대행은 당시 통화에서 조선업을 포함해 LNG, 무역균형 등 3대 분야에서 미국과 한 차원 높은 협력의지를 강조한 바 있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으로 90일 뒤에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에 대해, 확답이 아닌 '열린 답변'을 내놨습니다.
일단 개별 국가와의 협상 결과를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현지시간 9일 중국을 제외한 교역국에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중국을 상대로 재차 상호관세율을 높이며 화력을 집중하는 대신, 다른 나라에는 10% 기본 관세만 적용하기로 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90일 후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할 수 있냐는 질문에 그때 가서 상황을 지켜보자며 '열린 답변'을 했습니다.
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을 열어둔 셈입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그때 가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다만, 90일 상호관세 유예 기간 중 각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당초 책정한 상호관세율로 돌아갈 것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일단 개별 국가와 협상 결과를 지켜보고 관세 유예 연장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국가안보 차원에서 미국의 조선업을 재건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과거 하루 한 척 만들던 배를 이제는 1년에 한 척도 생산하지 못할 정도로 뒤처진 상황이라며 조선업 부활을 위해 많은 돈을 쓰겠다고 언급했습니다.
특히, 조선업에 특화된 국가들과 거래할 수 있고, 최첨단 선박을 주문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세계 1위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 조선업계와 협력할 가능성도 주목됩니다.
지난 8일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첫 통화에서 한미 협력 분야로 조선업을 언급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한 대행은 당시 통화에서 조선업을 포함해 LNG, 무역균형 등 3대 분야에서 미국과 한 차원 높은 협력의지를 강조한 바 있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88회) 클립영상
-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통합·위기극복 교훈 되새겨야" 02:09
- 트럼프, 관세유예 연장 질문에 "그때 가서 보자" 02:06
- "통상환경 새로운 국면···정책자금 9조 원 추가 공급" 01:55
- 수출기업 '품목 분류' 혼란···관세 행정 강화 03:53
- 미 관세부과로 대외여건 악화···"경기 하방 압력 증가" 02:03
- 35년 김치 강소기업도 '한숨'···관세 대응책 고심 03:47
- 한-시리아 외교관계 수립···유엔 회원국과 수교 완결 01:56
- 서울 주택가격 상승 둔화···"불안 상승 시 추가 조치" 02:18
- '제주4·3·산림녹화' 세계기록유산 등재···아태 지역 최다 01:53
- 개발자 70% "인앱결제 과도한 수수료 가장 큰 문제" 02:06
- 홍역 확진자 증가···"출국 전 접종해야" 02:00
- 지난해 보건산업 수출 역대 2위···'뷰티·바이오' 쌍끌이 01:51
- 선관위, 대선 유관기관 업무협의회 '투표소 안전관리' 등 논의 00:30
- 레바논 동명부대, 대민 의료지원 13만 명 돌파 00:41
- 국토부,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대응 사고대책본부 구성 00:35
- 태국 거점 마약 밀매조직 총책, 국내외 긴밀한 공조로 검거 후 강제 송환 00:58
- 가스레인지 삼발이 커버, 사용에 주의해야 00:50
- 농관원, 소비자단체와 함께 온라인 농축산물 판매업체 원산지 표시 점검! 00:48
- 볼보·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0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