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사전대비 점검 TF···풍수해·산불 2차 피해 대응
등록일 : 2025.04.12 14:09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여름철 자연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가 구성됐습니다.
태풍과 호우 대응은 물론 산사태 등 산불 피해 지역의 2차 피해 예방책도 마련합니다.
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윤현석 기자>
다음 달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를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으로 설정한 정부.
대책 기간 재난 대응 기능이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선제적 준비에 나섭니다.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참여한 여름철 사전대비 점검 TF를 구성했습니다.
TF는 본격적인 우기가 찾아오기 전까지 격주로 분야별 점검 안건을 선정, 논의할 예정입니다.
9일 열린 1차 회의에서는 기관별 주요 풍수해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행안부는 비상대응체계를 구축합니다.
취약지역과 시설을 발굴하고 점검에 나섭니다.
취약계층 보호방안과 주민대피 교육, 훈련도 준비합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재난 대비책도 발표됐습니다.
환경부는 지능형 CCTV를 시범 도입해 홍수 위험을 신속히 인지합니다.
AI를 활용해 홍수특보 발령지점을 확대하는 등 홍수예보도 고도화합니다.
국토교통부는 비탈면 IoT 센서로 도로사면을 관리하고, 지하차도 침수에 대비해 대피 유도시설을 확대 설치합니다.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안전관리대책도 논의됐습니다.
전화인터뷰> 김준하 / 행정안전부 자연재난대응과 사무관
"산불 피해 지역에서 풍수해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관리를 해 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여름철 사전대비 점검 TF 1차 회의에 앞서 산불 피해 복구계획 수립을 위한 범정부 복구대책 지원본부 회의도 열렸습니다.
회의에서는 민간 전문가와 9개 부처가 함께하는 합동 조사단 구성 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130여 명 규모의 합동 조사단은 앞으로 1주일간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중앙재난 피해합동조사를 진행합니다.
KTV 윤현석입니다.
여름철 자연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가 구성됐습니다.
태풍과 호우 대응은 물론 산사태 등 산불 피해 지역의 2차 피해 예방책도 마련합니다.
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윤현석 기자>
다음 달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를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으로 설정한 정부.
대책 기간 재난 대응 기능이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선제적 준비에 나섭니다.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참여한 여름철 사전대비 점검 TF를 구성했습니다.
TF는 본격적인 우기가 찾아오기 전까지 격주로 분야별 점검 안건을 선정, 논의할 예정입니다.
9일 열린 1차 회의에서는 기관별 주요 풍수해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행안부는 비상대응체계를 구축합니다.
취약지역과 시설을 발굴하고 점검에 나섭니다.
취약계층 보호방안과 주민대피 교육, 훈련도 준비합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재난 대비책도 발표됐습니다.
환경부는 지능형 CCTV를 시범 도입해 홍수 위험을 신속히 인지합니다.
AI를 활용해 홍수특보 발령지점을 확대하는 등 홍수예보도 고도화합니다.
국토교통부는 비탈면 IoT 센서로 도로사면을 관리하고, 지하차도 침수에 대비해 대피 유도시설을 확대 설치합니다.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안전관리대책도 논의됐습니다.
전화인터뷰> 김준하 / 행정안전부 자연재난대응과 사무관
"산불 피해 지역에서 풍수해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관리를 해 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여름철 사전대비 점검 TF 1차 회의에 앞서 산불 피해 복구계획 수립을 위한 범정부 복구대책 지원본부 회의도 열렸습니다.
회의에서는 민간 전문가와 9개 부처가 함께하는 합동 조사단 구성 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130여 명 규모의 합동 조사단은 앞으로 1주일간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중앙재난 피해합동조사를 진행합니다.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