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중국 외 관세 협상 본격화···"곧 발표"
등록일 : 2025.04.16 12:09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미국 정부가 중국 외 다른 국가들과 관세 협상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유럽연합(EU)과 관세 협상이 시작됐고, 다음 주 우리나라와 협상도 예고했습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미국과 유럽연합(EU)이 관세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EU가 제안한 자동차 포함 모든 공산품에 상호 무관세를 적용하자는 내용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습니다.
EU와 미국 양측 모두 우려하는 중국산 철강 과잉 공급 문제도 논의됐습니다.
EU는 다만, 상호 무관세 범위 확대를 검토할 수는 있어도 식품과 보건, 안전 기준은 타협이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이렇게 유럽연합(EU)과 공식 협상을 개시한 가운데, 다른 나라와 협상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미 백악관은 70여개 나라가 미국과 접촉했다며 15개 이상 제안을 받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부 협상에 대해선 곧 발표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한국과 협상은 다음 주로 예고됐고, 우리나라를 포함해 영국과 일본 등 5개 나라를 최우선 협상 국가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관세 전쟁에서 고전 중인 중국을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수월한 우방국들과 먼저 협상해 성과를 내겠단 의도로 풀이됩니다.
중국에 대해서는 '공은 중국에 있다'며 먼저 손을 내밀지는 않겠다고 언급했습니다.
녹취> 캐롤라인 레빗 / 미국 백악관 대변인
"이제 공은 중국으로 넘어갔습니다. 중국은 우리와 협상이 필요하지만, 우린 그럴 필요가 없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SNS를 통해 중국 맞대응의 표적이 된 미국 농가에는 더 버텨달라는 메시지를 내기도 했습니다.
백악관도 미 농가 지원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자동차 관세 일시 유예를 시사한 것에 대해선, 요점은 트럼프가 유연성을 발휘할 계획이라는 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KTV 이혜진입니다.
미국 정부가 중국 외 다른 국가들과 관세 협상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유럽연합(EU)과 관세 협상이 시작됐고, 다음 주 우리나라와 협상도 예고했습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미국과 유럽연합(EU)이 관세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EU가 제안한 자동차 포함 모든 공산품에 상호 무관세를 적용하자는 내용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습니다.
EU와 미국 양측 모두 우려하는 중국산 철강 과잉 공급 문제도 논의됐습니다.
EU는 다만, 상호 무관세 범위 확대를 검토할 수는 있어도 식품과 보건, 안전 기준은 타협이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이렇게 유럽연합(EU)과 공식 협상을 개시한 가운데, 다른 나라와 협상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미 백악관은 70여개 나라가 미국과 접촉했다며 15개 이상 제안을 받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부 협상에 대해선 곧 발표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한국과 협상은 다음 주로 예고됐고, 우리나라를 포함해 영국과 일본 등 5개 나라를 최우선 협상 국가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관세 전쟁에서 고전 중인 중국을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수월한 우방국들과 먼저 협상해 성과를 내겠단 의도로 풀이됩니다.
중국에 대해서는 '공은 중국에 있다'며 먼저 손을 내밀지는 않겠다고 언급했습니다.
녹취> 캐롤라인 레빗 / 미국 백악관 대변인
"이제 공은 중국으로 넘어갔습니다. 중국은 우리와 협상이 필요하지만, 우린 그럴 필요가 없어요."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SNS를 통해 중국 맞대응의 표적이 된 미국 농가에는 더 버텨달라는 메시지를 내기도 했습니다.
백악관도 미 농가 지원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자동차 관세 일시 유예를 시사한 것에 대해선, 요점은 트럼프가 유연성을 발휘할 계획이라는 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82회) 클립영상
- 미, 중국 외 관세 협상 본격화···"곧 발표" 02:01
- 민감국가 지정 발효···정부 "해결 위해 적극 교섭" 01:41
- 필수 추경 12조 원 편성···중·대형급 산림 헬기 6대 도입 02:12
- 연금개혁 범부처 지원 TF···"구조개혁 이어져야" 01:55
- '국토위성 영상' 활용···산불 피해 신속 복구 지원 02:25
- 2025 소비재·서비스 수출대전···K-뷰티·음식 판로 개척 02:40
- 2028 수능 예상문항 공개···'9모' 대신 '8모'로 02:05
- 3월 수입물가 0.4%↓···국제유가 하락 영향 00:30
- 오늘의 날씨 (25. 04. 16. 10시) 01:10
- 미 관세 최대한 협상···자동차 긴급대책 적극 이행 22:29
- 우크라 시민, 트럼프 발언에 반발 [월드 투데이] 05:16
- 미국, 자동차 25% 관세 부과···긴급 대책 마련 18:31
- 농작물 산불 피해 신고의 98.8% 조사 완료···"보험금 지급 신속 진행" [정책 바로보기]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