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2026학년도 의대 정원 확정' 발표 예정
등록일 : 2025.04.17 11:4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곧 공식 발표할 계획입니다.
공식 발표 후에도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학칙을 준수할 것을 재확인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우리 정부의 경제와 통상 수장이 다음주 미국을 방문합니다.
한미간 현안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인데, 협상은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
박성욱 앵커!

박성욱 앵커>
네,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발표를 앞둔 2026년 의대 정원 문제와 다음주 예정된 한미 통상 협상 등 국내외 현안을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배종찬 /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

박성욱 앵커>
교육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도 회의를 열고, 정부에 정원 동결과 빠른 확정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 발표,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박성욱 앵커>
일부 대학들은 수업에 복귀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이미 유급 통보를 했습니다.
현재 수업 거부 중인 의대생들의 유급처분은 학칙대로 진행한 것으로 보면 될까요?

박성욱 앵커>
대규모 유급사태가 벌어질 경우, 24학번부터 내년에 입학하는 26학번까지 3개 학년이 수업을 받는 트리플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박성욱 앵커>
의대 정원 문제는 의정 갈등의 핵심 쟁점입니다.
'내년 의대 정원' 확정 발표를 앞두고 있지만 정부는 원칙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의대 교육 정상화' 조치들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박성욱 앵커>
주제 바꿔보겠습니다.
최상목 경제 부총리가 다음 주 미국의 재무장관을 만나 관세 협상에 나섭니다.
먼저 제안한 건 미국이죠?

박성욱 앵커>
다음 주 우리나라와 협상을 예고한 가운데, 먼저 협상할수록 유리하다는 게 미국의 입장입니다.
최상목 부총리는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 밝혔는데... 어떻게 해석할 수 있습니까?

박성욱 앵커>
미국과 일본이 16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관세 관련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큰 진전이 있었다"라고 본인의 SNS에 글을 올렸습니다.
우리에겐 참고서가 될 수 있을 텐데요.

박성욱 앵커>
한덕수 권한대행에 자동차 업계를 방문한 데 이어 미국 관세 부과 '협상 카드'인 조선업 현장을 찾았습니다.
현장 점검 차원으로 보면 될까요?

박성욱 앵커>
미국과의 본격적인 관세 협상을 앞두고, 통상 전략을 더욱 정교하게 마련 중인데요.
통상 전문가들과 대응 전략을 모색했습니다.
조선과 에너지 등 양국 관심 분야를 필두로 전략을 국익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죠?

박성욱 앵커>
다음달 종료 예정이었던 전세사기 특별법이 2년 연장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회 본회의 등을 거쳐야 하는데요, 추진 배경 알아볼까요?

박성욱 앵커>
종료를 앞둔 전세사기 피해법이 연장이 거론되는 이유는 피해가 여전하기 때문이겠죠?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