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워킹맘·중장년까지···여성 전 생애주기 경제활동 지원
등록일 : 2025.04.18 09:07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여성의 생애 전반에 걸친 경제활동 지원이 강화됩니다.
특히 첨단산업 등 새로운 분야에 진출하려는 청년 여성을 비롯해, 일하는 엄마와 중장년 여성에 대한 지원책이 마련됐는데요.
제18차 양성평등 위원회 소식, 윤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윤현석 기자>
열여덟 번째 양성평등위원회에서는 제4차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이 논의됐습니다.
이번 기본계획은 여성 생애 전반에 걸쳐 경제활동 지원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녹취> 조민경 /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
"생애 주기별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 여성의 일과 생활 균형 도모를 2대 목표로 설정했고, 청년 여성의 경제활동 역량 강화, 중고령 등 다양한 여성 지원 확대, 여성의 생애 주기별 경력 설계 지원 등 5개 대과제를 정했습니다."
사회 진출을 앞둔 청년 여성의 경제활동 역량 강화를 위해 청년 여성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 직무 역량을 향상하도록 돕습니다.
경력 형성 단계별 지원을 비롯해 청년이 선호하는 강소기업 맞춤형 직업교육 훈련도 제공합니다.
과학, 기술, 첨단산업 분야로의 진출도 지원합니다.
신산업 분야 취업, 진로 가이드를 마련하고 미래 신산업과 결합한 특화형 취업 지원 서비스 모델을 개발합니다.
출산,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이른바 경단녀를 위한 지원 방안도 발표했습니다.
자녀 돌봄과 직업 교육 훈련을 병행할 수 있도록 새일 센터의 온오프라인 혼합 직업 교육 훈련을 신규 운영합니다.
일하는 부모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지원제도를 확대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대체인력지원금과 업무분담지원금 제도도 강화합니다.
저소득 한부모와 결혼이민자를 위한 지원책도 마련됐습니다.
녹취> 조민경 /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
"새일 여성 인턴 선발 시에 저소득 한부모를 우선 선발하고 결혼 이민 여성에게 한국어 교육부터 취업까지 통합 지원하는 등 경력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의 취업 지원 서비스를 다양화할 계획입니다."
중장년 여성을 위한 지원도 이뤄집니다.
사회서비스 분야 등 중장년 여성이 선호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새일 센터에 신설합니다.
시니어 직무실습, 재도약 프로그램과 연계해 중장년 여성 취업지원도 활성화합니다.
한편 이번 양성평등위원회에선 2023년 국가성평등지수도 발표됐습니다.
23년 국가성평등지수는 2022년보다 0.8점 하락한 65.4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가부는 의사결정과 고용, 소득, 교육 등 대부분 영역 점수가 상승했지만 양성평등의식과 돌봄 영역 점수의 하락으로 지수가 떨어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조현지)
KTV 윤현석입니다.
여성의 생애 전반에 걸친 경제활동 지원이 강화됩니다.
특히 첨단산업 등 새로운 분야에 진출하려는 청년 여성을 비롯해, 일하는 엄마와 중장년 여성에 대한 지원책이 마련됐는데요.
제18차 양성평등 위원회 소식, 윤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윤현석 기자>
열여덟 번째 양성평등위원회에서는 제4차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에 관한 기본계획이 논의됐습니다.
이번 기본계획은 여성 생애 전반에 걸쳐 경제활동 지원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녹취> 조민경 /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
"생애 주기별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 여성의 일과 생활 균형 도모를 2대 목표로 설정했고, 청년 여성의 경제활동 역량 강화, 중고령 등 다양한 여성 지원 확대, 여성의 생애 주기별 경력 설계 지원 등 5개 대과제를 정했습니다."
사회 진출을 앞둔 청년 여성의 경제활동 역량 강화를 위해 청년 여성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 직무 역량을 향상하도록 돕습니다.
경력 형성 단계별 지원을 비롯해 청년이 선호하는 강소기업 맞춤형 직업교육 훈련도 제공합니다.
과학, 기술, 첨단산업 분야로의 진출도 지원합니다.
신산업 분야 취업, 진로 가이드를 마련하고 미래 신산업과 결합한 특화형 취업 지원 서비스 모델을 개발합니다.
출산,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이른바 경단녀를 위한 지원 방안도 발표했습니다.
자녀 돌봄과 직업 교육 훈련을 병행할 수 있도록 새일 센터의 온오프라인 혼합 직업 교육 훈련을 신규 운영합니다.
일하는 부모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지원제도를 확대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대체인력지원금과 업무분담지원금 제도도 강화합니다.
저소득 한부모와 결혼이민자를 위한 지원책도 마련됐습니다.
녹취> 조민경 /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
"새일 여성 인턴 선발 시에 저소득 한부모를 우선 선발하고 결혼 이민 여성에게 한국어 교육부터 취업까지 통합 지원하는 등 경력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의 취업 지원 서비스를 다양화할 계획입니다."
중장년 여성을 위한 지원도 이뤄집니다.
사회서비스 분야 등 중장년 여성이 선호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새일 센터에 신설합니다.
시니어 직무실습, 재도약 프로그램과 연계해 중장년 여성 취업지원도 활성화합니다.
한편 이번 양성평등위원회에선 2023년 국가성평등지수도 발표됐습니다.
23년 국가성평등지수는 2022년보다 0.8점 하락한 65.4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가부는 의사결정과 고용, 소득, 교육 등 대부분 영역 점수가 상승했지만 양성평등의식과 돌봄 영역 점수의 하락으로 지수가 떨어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조현지)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398회) 클립영상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천58명···"의대교육 정상화에 총력" 01:53
- 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미 관세·환율·대출 영향 02:13
- 트럼프, 일 대표단과 면담···"협상 조기 타결 목표" 01:44
- 미 관세 '충격'···최 부총리, 방미 예정·수출기업 지원 총력 [뉴스의 맥] 03:46
- APEC 정상회의 준비위···한 대행 "국가브랜드 홍보" 01:44
-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 설계 첫 수출 01:42
- 재개발·재건축 요건 완화···지하주차장 없어도 반영 02:36
- 국민연금 기금위 "연금개혁 후속과제 논의 지속해야" 01:57
- 청년·워킹맘·중장년까지···여성 전 생애주기 경제활동 지원 02:46
- '보조배터리' 완충 뒤 전원 분리···KC 인증 따져야 01:51
- 조선 왕실 병풍·대한제국 당의 등 국가유산 4건 복제 완성 00:39
- 디지털성범죄 신고 1366 일원화···피해자지원센터 출범 00:35
- 어린이·청소년 급식시설 등 집중점검 결과···30곳 적발 00:53
- 기후변화 맞춰 아열대 작물 농약기준 새롭게 만든다 00:43
- 경상북도와 함께 지역주도 소공인 육성 프로젝트 본격 추진 00:44
- 긴급상황 발생 시, 청각·언어장애인도 119로 직접 전화하세요 0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