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서울~부산 20분 시대, '하이퍼튜브'로 열릴까?
등록일 : 2025.04.18 11:03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정부가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만에 주파하는 꿈의 열차, '하이퍼튜브' 기술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이 열차가 상용화된다면 전국이 '한나절 생활권'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는데요.

김현지 앵커>
하이퍼튜브의 핵심 기술부터 상용화를 위해 남아있는 과제까지,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국토교통부 철도국 철도안전정책과 조성균 과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조성균 / 국토교통부 철도국 철도안전정책과 과장)

김용민 앵커>
KTX보다 4배나 빠른 하이퍼튜브, 말 그대로 '꿈의 열차' 같은데요.
이 하이퍼튜브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기존 교통수단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들이 있나요?

김용민 앵커>
1,200km라고 하니 잘 체감이 되지 않습니다.
실제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운행 속도는 어느 정도일까요?

김현지 앵커>
그렇다면 하이퍼튜브는 어떤 기술들로 만들어지나요?

김용민 앵커>
기술개발에 다양한 인력이 투입됐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분야의 인력들로 구성되었나요?

김용민 앵커>
이 4개의 기술 중 핵심이 되는 '자기부상·추진 기술'은 무엇인지, 또 기존 고속철 기술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한데요.

김현지 앵커>
우리나라뿐 아니라 유럽, 일본 등에서도 하이퍼튜브 기술을 연구 개발 중인데요.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하이퍼튜브 기술력은 글로벌 기준에서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김용민 앵커>
설명하신 내용을 들으니 빨리 상용화 됐으면 하는 기대가 커지는데요.
지금까지 국토교통부 철도국 철도안전정책과 조성균 과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