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감시 이제 AI로
등록일 : 2025.04.22 21:15
미니플레이
■ 기획의도
전국 곳곳에 화마가 휩쓸고 있다. 이 때문에 산불 조기 대응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세계 최초로 한국전력공사가 송전철탑 등을 활용한 '산불 조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화제다. 특히 기존의 전력 인프라를 활용했다는 점이 우수한 점으로 꼽힌다. 시스템 개발 및 운영하는 담당자를 만나 실제 산불 예방에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는지 알아본다.
■ 혁신 기술
송전철탑, 무선기지국, 변전소 등 전력 인프라를 통한 산불감시 방안으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산불 영상 분석, 배전 선로 위험지역, 재해재난 감시도 가능한 시스템. 산불 학습용 데이터 세트 확보 등 도입으로 산불감시 정확도를 90%까지 향상시켰다.
■ 방송 내용
지난 3월 대형산불로 전국 곳곳이 잿더미가 되었다. 이에 산불 조기 대응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또한 관련 담당자들의 책임감이 더 높아지고 있다는데... 피해 현장을 찾아 데이터 수집은 물론 기존에 설치된 대응 시스템 점검까지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산불 예방을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 담당자들을 만나본다.
■ 주요 출연자
- 한정호 / 한국전력공사 ICT 기획처 차장
전국 곳곳에 화마가 휩쓸고 있다. 이 때문에 산불 조기 대응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세계 최초로 한국전력공사가 송전철탑 등을 활용한 '산불 조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화제다. 특히 기존의 전력 인프라를 활용했다는 점이 우수한 점으로 꼽힌다. 시스템 개발 및 운영하는 담당자를 만나 실제 산불 예방에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는지 알아본다.
■ 혁신 기술
송전철탑, 무선기지국, 변전소 등 전력 인프라를 통한 산불감시 방안으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산불 영상 분석, 배전 선로 위험지역, 재해재난 감시도 가능한 시스템. 산불 학습용 데이터 세트 확보 등 도입으로 산불감시 정확도를 90%까지 향상시켰다.
■ 방송 내용
지난 3월 대형산불로 전국 곳곳이 잿더미가 되었다. 이에 산불 조기 대응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또한 관련 담당자들의 책임감이 더 높아지고 있다는데... 피해 현장을 찾아 데이터 수집은 물론 기존에 설치된 대응 시스템 점검까지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산불 예방을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 담당자들을 만나본다.
■ 주요 출연자
- 한정호 / 한국전력공사 ICT 기획처 차장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