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대한민국 청년총회···창업인 목소리 직접 듣는다
등록일 : 2025.04.23 11:34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창업 성공사례를 본보기로, 최근 창업을 꿈꾸는 청년이 늘고 있는데요.
사회 경험이 부족한 청년들이 홀로서기에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김현지 앵커>
정부가 청년 창업인들의 고민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는데요.
최유경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유경 기자>
(장소: 수원 행궁동)
4년 전, 직장 동료와 함께 츄러스 가게를 연 양성희 씨.
베이커리 회사를 나와 창업의 뜻을 이뤘습니다.
녹취> 양성희 / 행궁동 '츄플러스' 사장
"계속 개발하다가, 한 1년 정도 개발했어요. 이 아이템 가지고 창업을 하면 괜찮겠다..."
지역 대표 '디저트 맛집'으로 이름났지만, 개업 당시 현실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녹취> 양성희 / 행궁동 '츄플러스' 사장
"전부 다 (저희 돈으로) 대출을 받아서 시작을 했는데, 거기에 대한 정보가 아예 없다 보니까 어떻게 지원을 받아야 하는지 아무것도 모르겠더라고요. 진짜 열심히만 했어요."
최근 취업 대신 창업을 택하는 청년이 느는 추세.
하지만 소상공인 10곳 중 4곳은 3년 내 단기 폐업하는 현실입니다.
폐업의 가장 큰 원인은 '수익성 악화와 매출 부진'으로 꼽힙니다.
정부가 22일 청년 창업을 주제로 '2025 제1차 대한민국 청년총회'를 열었습니다.
정책 관계자, 2030 청년 자문단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청년정책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녹취> 이영 / 청년정책조정위원회 부위원장
"내가 좋아하는 것으로 시작을 하면 충분히 기업가로 커 가실 수 있고. 그런 프로그램들이 정부에서 많이 생기고 있다라는 것을..."
창업의 꿈을 이룬 5명의 청년들이 현직, 예비 창업인들과 대화하는 시간도 마련됐습니다.
지역색을 살린 창업 노하우부터, 골목상권의 현실적인 장사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녹취> 윤민식 / 행궁동청년상인회 대표
"안 해봤던 분야 창업에 뛰어들면 본인이 생각했던 것과 괴리감이 굉장히 커요. 많은 정보를 얻어가서 사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녹취> 이기영 / 신생 교육콘텐츠기업 창업자
"자원이 적고 경력이 부족하더라도 부딪히면서 현장에서 목소리를 듣고 찾아내는 게 결국 창업의 본질이구나, 라는 것을..."
정부는 이날 청년들의 논의를 토대로, 청년정책 수립에 참고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이정윤 전민영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강은희)
최유경 기자 ch01yk@korea.kr
"수원에서 포문을 연 '2025 청년총회'는 올해 전국 5개 지역을 순회하며 열릴 계획입니다.
KTV 최유경입니다."
창업 성공사례를 본보기로, 최근 창업을 꿈꾸는 청년이 늘고 있는데요.
사회 경험이 부족한 청년들이 홀로서기에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김현지 앵커>
정부가 청년 창업인들의 고민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는데요.
최유경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유경 기자>
(장소: 수원 행궁동)
4년 전, 직장 동료와 함께 츄러스 가게를 연 양성희 씨.
베이커리 회사를 나와 창업의 뜻을 이뤘습니다.
녹취> 양성희 / 행궁동 '츄플러스' 사장
"계속 개발하다가, 한 1년 정도 개발했어요. 이 아이템 가지고 창업을 하면 괜찮겠다..."
지역 대표 '디저트 맛집'으로 이름났지만, 개업 당시 현실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녹취> 양성희 / 행궁동 '츄플러스' 사장
"전부 다 (저희 돈으로) 대출을 받아서 시작을 했는데, 거기에 대한 정보가 아예 없다 보니까 어떻게 지원을 받아야 하는지 아무것도 모르겠더라고요. 진짜 열심히만 했어요."
최근 취업 대신 창업을 택하는 청년이 느는 추세.
하지만 소상공인 10곳 중 4곳은 3년 내 단기 폐업하는 현실입니다.
폐업의 가장 큰 원인은 '수익성 악화와 매출 부진'으로 꼽힙니다.
정부가 22일 청년 창업을 주제로 '2025 제1차 대한민국 청년총회'를 열었습니다.
정책 관계자, 2030 청년 자문단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청년정책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녹취> 이영 / 청년정책조정위원회 부위원장
"내가 좋아하는 것으로 시작을 하면 충분히 기업가로 커 가실 수 있고. 그런 프로그램들이 정부에서 많이 생기고 있다라는 것을..."
창업의 꿈을 이룬 5명의 청년들이 현직, 예비 창업인들과 대화하는 시간도 마련됐습니다.
지역색을 살린 창업 노하우부터, 골목상권의 현실적인 장사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녹취> 윤민식 / 행궁동청년상인회 대표
"안 해봤던 분야 창업에 뛰어들면 본인이 생각했던 것과 괴리감이 굉장히 커요. 많은 정보를 얻어가서 사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녹취> 이기영 / 신생 교육콘텐츠기업 창업자
"자원이 적고 경력이 부족하더라도 부딪히면서 현장에서 목소리를 듣고 찾아내는 게 결국 창업의 본질이구나, 라는 것을..."
정부는 이날 청년들의 논의를 토대로, 청년정책 수립에 참고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이정윤 전민영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강은희)
최유경 기자 ch01yk@korea.kr
"수원에서 포문을 연 '2025 청년총회'는 올해 전국 5개 지역을 순회하며 열릴 계획입니다.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87회) 클립영상
- 내일 한미 2+2 협의···최 부총리 "한국 입장 적극 설명" 02:21
- IMF, 세계경제성장률 2.8% 전망···한국 1.0% 하향 조정 02:08
- 철도 유지·보수 기술 수출···코레일, 필리핀 시장 진출 02:15
- 의대생 만난 이주호 부총리···"24·25학번 분리교육 실시" 02:11
-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도발 징후 더 빠르게 식별" 01:34
- 2025 대한민국 청년총회···창업인 목소리 직접 듣는다 02:11
- 농업법인, 태양광 잉여전력 거래 허용···민생규제 개선 02:14
- 4월 소비심리 소폭 개선···정치 불확실성 완화 영향 00:21
- '전국 굴착 공사장 특별 점검'···지반침하 대책회의 개최 00:35
- 오늘의 날씨 (25. 04. 23. 10시) 01:14
- 최상목 부총리, 워싱턴 도착 "한국 입장 적극 설명" 26:40
- 교황 고향서 추모 미사···종교 지도자 참석 [월드 투데이] 03:53
- 10년 이상 근무 공무원, 최대 7일 '장기재직휴가' 1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