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근로자 권역 이동 허용···지방 인력난 해소
등록일 : 2025.04.23 20:33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정부가 외국인 근로자의 권역 간 재취업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지방 중소기업들의 구인난을 해소하기 위해서인데요.
또 내국인 채용 실적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를 우선 배정하던 평가 기준도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김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경호 기자>
대전의 한 금속 가공 업체입니다.
이른 아침부터 외국인 근로자가 분류 작업으로 분주합니다.
외국인 2명을 고용하고 있는 이 업체는 다음달 4명을 추가 채용할 계획입니다.
건설 현장에서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되는 5월부터 일감이 몰리지만 내국인 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태준 / 화성스틸 총괄부장
"(기존 인원이) 정년퇴직하고 업계에서 떠나잖아요. 새로운 인원이 들어와야 하는데 그런 게 없어요. 젊은 친구들 같은 경우에는 3D업종이다 보니 안 하려고 하고요. 외국인 근로자 아니면 할 수가 없어요."
실제로 최근 5년 동안 중소기업의 인력 미충원율은 꾸준히 대기업의 두 배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특히 중소 제조업체의 구인난이 더욱 심각했습니다.
2022년에는 중소 제조업체의 인력 미충원율이 대기업 평균의 다섯 배에 달했습니다.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주 여건 등이 열악한 지방 중소기업은 인력으로 인한 고충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화 인터뷰> 문광민 /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같은 중소기업이면 수도권에 있는 중소기업으로 더 몰릴 수 있거든요. 정주 여건도 그렇고 임금도 상대적으로 수도권에 있는 중소기업의 임금이 더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가 지방 중소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의 권역 간 재취업을 허용합니다.
외국인 근로자는 처음 고용 허가를 받은 권역 내에서만 재취업이 가능했는데 이런 규제를 완화한 겁니다.
앞으로는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또는 비수도권 간 재취업도 가능합니다.
불합리한 고용 허가 기준도 개선합니다.
내국인 채용 실적이 높은 사업장 순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우선 배정하던 규제를 없애기로 한 겁니다.
해당 규제로 외국인 근로자가 더욱 필요한 지방 중소기업이 오히려 외국인 배정에서 소외되어 왔습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이수경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경호입니다.
정부가 외국인 근로자의 권역 간 재취업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지방 중소기업들의 구인난을 해소하기 위해서인데요.
또 내국인 채용 실적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를 우선 배정하던 평가 기준도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김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경호 기자>
대전의 한 금속 가공 업체입니다.
이른 아침부터 외국인 근로자가 분류 작업으로 분주합니다.
외국인 2명을 고용하고 있는 이 업체는 다음달 4명을 추가 채용할 계획입니다.
건설 현장에서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되는 5월부터 일감이 몰리지만 내국인 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태준 / 화성스틸 총괄부장
"(기존 인원이) 정년퇴직하고 업계에서 떠나잖아요. 새로운 인원이 들어와야 하는데 그런 게 없어요. 젊은 친구들 같은 경우에는 3D업종이다 보니 안 하려고 하고요. 외국인 근로자 아니면 할 수가 없어요."
실제로 최근 5년 동안 중소기업의 인력 미충원율은 꾸준히 대기업의 두 배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특히 중소 제조업체의 구인난이 더욱 심각했습니다.
2022년에는 중소 제조업체의 인력 미충원율이 대기업 평균의 다섯 배에 달했습니다.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주 여건 등이 열악한 지방 중소기업은 인력으로 인한 고충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화 인터뷰> 문광민 /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같은 중소기업이면 수도권에 있는 중소기업으로 더 몰릴 수 있거든요. 정주 여건도 그렇고 임금도 상대적으로 수도권에 있는 중소기업의 임금이 더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가 지방 중소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의 권역 간 재취업을 허용합니다.
외국인 근로자는 처음 고용 허가를 받은 권역 내에서만 재취업이 가능했는데 이런 규제를 완화한 겁니다.
앞으로는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또는 비수도권 간 재취업도 가능합니다.
불합리한 고용 허가 기준도 개선합니다.
내국인 채용 실적이 높은 사업장 순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우선 배정하던 규제를 없애기로 한 겁니다.
해당 규제로 외국인 근로자가 더욱 필요한 지방 중소기업이 오히려 외국인 배정에서 소외되어 왔습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이수경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96회) 클립영상
- 내일 한미 통상협의···"자동차 관세 신속 해결" 02:39
- IMF, 세계경제성장률 2.8% 전망···한국 1.0% 하향 조정 02:11
- 한 대행, 한미연합사 방문···"확고한 연합방위태세" 01:44
-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구직자 5천 명 연결 02:29
- 기대수명 늘자 소비성향 감소···"고령 인력 활용해야" 02:10
- 2월 출생아 2만 35명···8개월째 증가 [뉴스의 맥] 03:09
- 지반침하 안전대책 논의···전국 굴착공사장 특별점검 01:56
- 한·UAE 원자력 고위급 협의···"제3국 원전사업 공동 진출 추진" 01:59
- 정부, '관세 애로' 기업 상담···"피해 최소화 안간힘" 01:38
- 외국인근로자 권역 이동 허용···지방 인력난 해소 02:10
- 작년 보험사기 제보 73% 실제 적발···포상금 총 15억 01:59
- 국가 희귀질환 등록사업 시행···"질환별 지원체계 강화" 01:59
- 5월 '바다가는 달'···바다의 매력으로 풍덩 02:08
- 육아문화 알릴 '100인의 아빠단' 활동 시작 00:30
- 산불재난 트라우마, 산림치유로 회복하세요 00:54
- 국세청에서 알려드리는 학자금 의무상환 꿀팁, 나에게 맞는 상환 방법은? 00:47
- 국제농업협력(ODA) 민관협력 모델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00:45
- 주민센터 민원, 이제 모바일 신분증 하나면 OK! [클릭K+] 0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