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폐지 위한 '7월 패키지 합의' 추진
등록일 : 2025.04.25 14:05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한미 양국이 2+2 통상협의 결과, 관세 부과 폐지와 산업 협력을 위한 '7월 패키지 합의'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양국은 조만간 실무 협의에 들어가고, 추가 고위급 협의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한미 재무·통상 장관이 이끄는 2+2 통상협의는 현지시간 24일 백악관 재무부 청사에서 진행됐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우리 정부 수석대표로 나섰고, 미국에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습니다.
미 관세 정책 관련 장관급 공식 협의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협의 결과, 양국은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까지 관세 폐지를 위한 '7월 패키지' 마련에 공감대를 형성했습니다.
또, 양측 관심사인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나가기로 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이번 협의에서 미국의 관심사인 조선, 에너지 산업 관련 협력 의지와 비전도 소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부과가 양국 경제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고, 한국에 대해선 관세 면제와 예외가 필요하단 입장도 전달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했다고 전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이번 2+2 통상협의를 통해 양국이 질서있는 협의를 위한 인식을 공유했다고 평가했고,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과 협의가 성공적으로 진행됐으며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녹취> 스콧 베선트 / 미국 재무장관
"한국과 협의는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예상보다 더 빠르게 진전되고 있어요. 다음 주 초반 기술적 조항에 대해 논의할 예정인데 이르면 다음 주 합의에 도달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 일찍 협상하러 왔고 최선의 제안을 가져왔죠. 그 사안들을 이행하는지 지켜볼 겁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 무역대표부(USTR)는 조만간 실무 협의를 열고, 다음 달 방한하는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추가 고위급 협의도 진행합니다.
환율 정책은 기획재정부와 미 재무부가 별도 논의하기로 합의했고, 조만간 실무 협의도 개최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한미 양국은 협의를 위한 작업반도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한미 양국이 2+2 통상협의 결과, 관세 부과 폐지와 산업 협력을 위한 '7월 패키지 합의'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양국은 조만간 실무 협의에 들어가고, 추가 고위급 협의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한미 재무·통상 장관이 이끄는 2+2 통상협의는 현지시간 24일 백악관 재무부 청사에서 진행됐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우리 정부 수석대표로 나섰고, 미국에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습니다.
미 관세 정책 관련 장관급 공식 협의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협의 결과, 양국은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까지 관세 폐지를 위한 '7월 패키지' 마련에 공감대를 형성했습니다.
또, 양측 관심사인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나가기로 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이번 협의에서 미국의 관심사인 조선, 에너지 산업 관련 협력 의지와 비전도 소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부과가 양국 경제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고, 한국에 대해선 관세 면제와 예외가 필요하단 입장도 전달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했다고 전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이번 2+2 통상협의를 통해 양국이 질서있는 협의를 위한 인식을 공유했다고 평가했고,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과 협의가 성공적으로 진행됐으며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녹취> 스콧 베선트 / 미국 재무장관
"한국과 협의는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예상보다 더 빠르게 진전되고 있어요. 다음 주 초반 기술적 조항에 대해 논의할 예정인데 이르면 다음 주 합의에 도달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 일찍 협상하러 왔고 최선의 제안을 가져왔죠. 그 사안들을 이행하는지 지켜볼 겁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 무역대표부(USTR)는 조만간 실무 협의를 열고, 다음 달 방한하는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추가 고위급 협의도 진행합니다.
환율 정책은 기획재정부와 미 재무부가 별도 논의하기로 합의했고, 조만간 실무 협의도 개최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한미 양국은 협의를 위한 작업반도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