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국표원, 자율주행용 라이다 국가표준 제정
등록일 : 2025.04.25 20:35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레이저를 이용해 사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라이다'는 자율주행차에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그런데 업체마다 성능 평가 기준이 달라 상용화에 걸림돌이 됐는데요.
정부가 기준을 하나로 통일해 국가표준으로 제정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레이저를 발사해 반사된 빛으로 물체를 인식하는 라이다.
고정밀 3D 인식이 가능해 자율주행차의 눈이라 불립니다.
차량의 안전성 확보에 핵심적인 부품입니다.
관련 시장도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라이다 시장이 2029년까지 4조9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연평균 성장률은 35%에 달합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자율주행용 라이다의 성능평가방법을 국가표준(KS)으로 제정 고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측정 거리·각도·속도 범위 등 라이다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이 담겼습니다.

인터뷰> 정석진 / 국가기술표준원 기계융합산업표준과장
"우리 업계 각 업체 간에 부품의 사양이나 스펙이 하나로 통일돼있지 않고 각각 쓰고 있어서, 표준을 정하면 관련 업체들이 이쪽 회사에 맞는 차에 이쪽 부품이 들어갈 수도 있고, 이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표준을 먼저 정하는 게 필수적입니다."

산업부는 라이다 표준으로 중복 시험을 줄이고, 상용화 속도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2027년 제정이 예상되는 ISO 라이다 국제표준에도 한국 기술이 반영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번 표준은 국가 R&D 사업을 통해 개발됐으며, 현대차, LG이노텍 등 기업 참여로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됐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