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 뻗어가는 '월드IT쇼'···해외 수출 교두보 마련
등록일 : 2025.04.26 08:46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서울에서 막을 올린 '월드 IT쇼'에 아시아부터 유럽, 북미까지 17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많은 인파가 몰리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들도 뛰어난 기술로 해외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고 하는데요.
해외 시장을 향한 새로운 발판을 만들어가는 현장을, 김유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유리 기자>
(장소: 서울 코엑스)
부스마다 관람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ICT 전시회, 월드IT쇼에서 기업들은 AI와 디지털 기술로 달라질 미래를 대거 선보였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 주목할 부분 중 하나는 '세계화'.
아시아부터 유럽, 북미까지 17개국, 450개 국내외 기업과 기관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눈앞에서 펼쳐지는 기술들을 보고 체험한 관람객들은 연신 감탄을 쏟아냈습니다.
외국인 관람객들의 반응도 뜨겁습니다.
녹취> 디얼백 / 우즈베키스탄
"감정을 분석하는 AI 솔루션들을 봤습니다. 그 기술들은 카메라를 볼 경우 행복한지 슬픈지와 같은 감정들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이 저에겐 정말 새롭고 흥미로웠습니다."
이번 기회에 국내 기술을 해외에 알리기 위한 노력도 곳곳에서 이어졌습니다.
실제 사람 크기의 아바타와 대화를 주고받는 '챗봇 아바타 AI'.
기존의 생성형 AI, '챗GPT'나 구글 '제미나이'를 뛰어넘어,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시켰습니다.
현장음>
"피카소의 고향이 어디야?"
(피카소는 스페인의 말라가에서 태어났습니다.)
모나리자에게 질문했더니 약 1초 내에 빠르게 대답해 줍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응답 속도를 자랑하며 해외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녹취> 김태형 / AI 실시간 챗봇 개발업체 대표
"미국 대사관 측에서도 오셔서 제품을 보고 영어로 직접 대화를 해보면서 응답 속도에 대해 굉장히 놀랐고요.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앞으로 미국 시장이나 일본 시장에 이러한 엑스포를 통해서 제품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디지털 마약견'도 눈에 띕니다.
냄새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마약 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내년에는 국내 상용화, 더 나아가 국제 무대에서도 기술력을 입증할 계획입니다.
녹취> 고범석 / 디지털 마약견 개발업체 대표
"두바이나 에티오피아 쪽에서도 (부스에) 와서 관심 있게... 마약이라는 주제 자체가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아이템이기 때문에 글로벌적으로 다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고 1차 목표는 미국 쪽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의 수출을 돕기 위한 글로벌 ICT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도 진행됐습니다.
녹취> 최유선 / AI 디지털헬스케어기업 대표
"그 나라를 직접 겪어보지 않고서는 인터넷만으로 조사해서 알 수 있는 게 한계가 있는데... 실제로 판매 중인 아이템뿐만 아니라 함께 협업 했을 때 더 시너지가 날 수 있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대화를 오픈해서 나눌 수 있는..."
이번 월드IT쇼로 국내 기업의 뛰어난 기술력을 알리는 동시에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상취재: 이수오, 김은아 / 영상편집: 최은석)
KTV 김유리입니다.
서울에서 막을 올린 '월드 IT쇼'에 아시아부터 유럽, 북미까지 17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많은 인파가 몰리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들도 뛰어난 기술로 해외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고 하는데요.
해외 시장을 향한 새로운 발판을 만들어가는 현장을, 김유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유리 기자>
(장소: 서울 코엑스)
부스마다 관람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ICT 전시회, 월드IT쇼에서 기업들은 AI와 디지털 기술로 달라질 미래를 대거 선보였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 주목할 부분 중 하나는 '세계화'.
아시아부터 유럽, 북미까지 17개국, 450개 국내외 기업과 기관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눈앞에서 펼쳐지는 기술들을 보고 체험한 관람객들은 연신 감탄을 쏟아냈습니다.
외국인 관람객들의 반응도 뜨겁습니다.
녹취> 디얼백 / 우즈베키스탄
"감정을 분석하는 AI 솔루션들을 봤습니다. 그 기술들은 카메라를 볼 경우 행복한지 슬픈지와 같은 감정들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이 저에겐 정말 새롭고 흥미로웠습니다."
이번 기회에 국내 기술을 해외에 알리기 위한 노력도 곳곳에서 이어졌습니다.
실제 사람 크기의 아바타와 대화를 주고받는 '챗봇 아바타 AI'.
기존의 생성형 AI, '챗GPT'나 구글 '제미나이'를 뛰어넘어,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시켰습니다.
현장음>
"피카소의 고향이 어디야?"
(피카소는 스페인의 말라가에서 태어났습니다.)
모나리자에게 질문했더니 약 1초 내에 빠르게 대답해 줍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응답 속도를 자랑하며 해외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녹취> 김태형 / AI 실시간 챗봇 개발업체 대표
"미국 대사관 측에서도 오셔서 제품을 보고 영어로 직접 대화를 해보면서 응답 속도에 대해 굉장히 놀랐고요.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앞으로 미국 시장이나 일본 시장에 이러한 엑스포를 통해서 제품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디지털 마약견'도 눈에 띕니다.
냄새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마약 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내년에는 국내 상용화, 더 나아가 국제 무대에서도 기술력을 입증할 계획입니다.
녹취> 고범석 / 디지털 마약견 개발업체 대표
"두바이나 에티오피아 쪽에서도 (부스에) 와서 관심 있게... 마약이라는 주제 자체가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아이템이기 때문에 글로벌적으로 다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고 1차 목표는 미국 쪽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의 수출을 돕기 위한 글로벌 ICT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도 진행됐습니다.
녹취> 최유선 / AI 디지털헬스케어기업 대표
"그 나라를 직접 겪어보지 않고서는 인터넷만으로 조사해서 알 수 있는 게 한계가 있는데... 실제로 판매 중인 아이템뿐만 아니라 함께 협업 했을 때 더 시너지가 날 수 있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대화를 오픈해서 나눌 수 있는..."
이번 월드IT쇼로 국내 기업의 뛰어난 기술력을 알리는 동시에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상취재: 이수오, 김은아 / 영상편집: 최은석)
KTV 김유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404회) 클립영상
- 한미, 관세 폐지 위한 '7월 패키지 합의' 추진 02:42
- 트럼프 "군대 대상 아냐"···관세·방위비 별도 논의 시사 02:03
- 한미 첫 통상협의 종료···'상호관세 협의 틀 마련' [뉴스의 맥] 03:57
- 트럼프 취임 후 첫 국방협의체···"조선 협력 논의" 01:34
- 집단 유급 임박···이주호 부총리, 의대생에 대화 제안 02:01
- SKT 가입자 유심 28일부터 무상 교체···"민관 합동 조사" 02:38
- 산불 피해 지역 산사태 대비···6월 15일까지 응급복구 01:50
- "산불피해 과수 농가 최우선 지원···수급 관리 만전" 02:19
- 2차 병원에 연 7천억 원···"필수·지역의료 강화" 02:13
- 한국 바이오헬스, 세계 11위···연평균 8.7% 성장 전망 01:59
- 세계로 뻗어가는 '월드IT쇼'···해외 수출 교두보 마련 03:19
- 국표원, 자율주행용 라이다 국가표준 제정 01:39
- 문체부 '한류산업 수출 확대방안' 한국정책대상 수상 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