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법인, 태양광 잉여전력 거래 허용···민생규제 개선
등록일 : 2025.04.26 13:11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농업법인이 휴경기에 발생하는 태양광 잉여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이에 따라 계절적 특성으로 가동률이 낮은 농업 공장들이 추가 수익 창출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장소: 슬로푸드 / 경남 하동군)
매실과 배 등 농산물을 가공해 판매하는 농업법인.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 한 달에 약 3천 kWh의 전력을 자가발전으로 사용합니다.
이 공장에서는 월평균 4만 kWh의 전력이 필요해, 더 많은 자가발전이 가능해진다면 금전적인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녹취> 김호근 / 주식회사 슬로푸드 부장
"유휴 재건축을 통해서 천장을 허가 받으려고 노력을 했는데 (허가가 된다면) 4~500kWh정도 되는 발전소를 더 올릴 수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농산물의 제철기가 지난 뒤 휴경기에 접어들면, 사실상 유휴 설비로 남게 된 공장들도 많습니다.
녹취> 김호근 / 주식회사 슬로푸드 부장
"제철 이외에 남아 있는 한 8~9개월 정도는 공장이 유휴 설비로 놀아야 되는 상황입니다. 그런 농장들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농업법인들은 휴경기간 동안 발생하는 잉여 전력을 판매하고 싶어도, 기존 규제 상 판매가 불가능해 폐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농어업경영체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규제 혁신에 나섰습니다.
녹취> 손동균 /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장
"앞으로 농업법인도 휴경기간에는 잉여전력을 팔아서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농업인한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개정안에 따라, 잉여 전력에 한해 총매출액의 30% 범위 내에서 부대사업으로 판매가 가능해집니다.
최다희 기자 h2ekgml@korea.kr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약 2만6천 개의 농업법인이 휴경기간을 활용한 추가 수익 창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농업법인의 계절적 수익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농촌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활용도도 함께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상취재: 김윤상, 이기환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최다희입니다.
농업법인이 휴경기에 발생하는 태양광 잉여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이에 따라 계절적 특성으로 가동률이 낮은 농업 공장들이 추가 수익 창출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장소: 슬로푸드 / 경남 하동군)
매실과 배 등 농산물을 가공해 판매하는 농업법인.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 한 달에 약 3천 kWh의 전력을 자가발전으로 사용합니다.
이 공장에서는 월평균 4만 kWh의 전력이 필요해, 더 많은 자가발전이 가능해진다면 금전적인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녹취> 김호근 / 주식회사 슬로푸드 부장
"유휴 재건축을 통해서 천장을 허가 받으려고 노력을 했는데 (허가가 된다면) 4~500kWh정도 되는 발전소를 더 올릴 수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농산물의 제철기가 지난 뒤 휴경기에 접어들면, 사실상 유휴 설비로 남게 된 공장들도 많습니다.
녹취> 김호근 / 주식회사 슬로푸드 부장
"제철 이외에 남아 있는 한 8~9개월 정도는 공장이 유휴 설비로 놀아야 되는 상황입니다. 그런 농장들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농업법인들은 휴경기간 동안 발생하는 잉여 전력을 판매하고 싶어도, 기존 규제 상 판매가 불가능해 폐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농어업경영체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규제 혁신에 나섰습니다.
녹취> 손동균 /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장
"앞으로 농업법인도 휴경기간에는 잉여전력을 팔아서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농업인한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개정안에 따라, 잉여 전력에 한해 총매출액의 30% 범위 내에서 부대사업으로 판매가 가능해집니다.
최다희 기자 h2ekgml@korea.kr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약 2만6천 개의 농업법인이 휴경기간을 활용한 추가 수익 창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농업법인의 계절적 수익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농촌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활용도도 함께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상취재: 김윤상, 이기환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