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중소제조사 5곳 중 1곳 '스마트공장'···76%는 기초단계
등록일 : 2025.04.28 20:09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국내 중소·중견기업 5곳 중 1곳은 스마트 공장을 도입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75% 정도가 가장 낮은 단계인 '기초' 수준에 그쳤는데요.
자세한 내용을,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최유경 기자>
스마트공장은 생산 전 과정에 정보통신 기술(ICT)을 적용해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지능형 공장을 말합니다.
중기부에 따르면, 공장을 보유한 16만 3천여 개 중소·중견기업 중 19.5%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도입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중견기업이 85.7%로 가장 많이 도입했고, 중기업 54.2%, 소기업(28.5%), 소상공인(8.7%) 순이었습니다.
규모에 비례해 공장 수준도 높아졌습니다.
스마트공장 단계는 크게 기초부터 중간1과 2, 고도 순으로 구분됩니다.
중간 이상 비중을 보면 중견기업이 40.3%로 가장 많이 차지했고, 중기업(29.0%), 소기업(22.6%), 소상공인(19.6%) 순이었습니다.
다만 전체 기업 75.5%는 기초 수준이었습니다.
기업의 26.5%는 '스마트제조혁신'이 중요하다고 인식했습니다.
목적으로는 생산효율성 향상(56.5%)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도입 시 평균 비용은 11억 3천만 원으로, '자체 자금'(56.9%)을 통해 조달한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전화인터뷰> 권순재 / 중소벤처기업부 제조혁신과장
"정부는 마중물 역할 차원에서 고도화 중심으로 지원을 하고요. 기초 단계 이런 것들은 기업이 스스로 추진하면 좋겠다. 인공지능까지 나아가려면 고도 수준까지는 어느 정도 올라가야 하는 부분들이 있어서, 조금 더 상위 단계에 정부 재원을 집중할 생각..."

스마트공장 활용률은 하드웨어와 제조데이터, 소프트웨어 등 구성요소 각각 80%를 웃돌았습니다.
제조AI 도입률은 0.1%에 그쳤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손윤지)
스마트 관련 인력 확충을 계획 중인 기업은 14.5%.
이 가운데 절반 가량은 '비용부담'(47.1%)을 이유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했습니다.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