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SKT 유심 유출 점검회의···"부정 인증 없어"
등록일 : 2025.04.30 17:35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SK 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재까지 금융권에서 부정 인증 특이 징후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금융당국은 비상대응본부를 꾸리고 상시 보안점검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금융당국이 SK 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유관 기관 점검회의를 열었습니다.
이번 사고 이후 전자 금융 거래 안전성에 대한 금융 소비자 우려가 커지자 금융권 대응 현황을 살피기 위해서입니다.
금융당국은 현재까지 금융권에서 유심을 이용한 부정 인증 등 특이 징후는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다만 비상대응본부를 구성해 이번 사고로 인한 금융권 피해 예방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유관 기관 간 연락체계를 구축하고 매일 대응현황과 특이사항을 확인할 계획입니다.
금융결제원과 신용정보원 등 금융 인프라 기관에 대해선 해킹 등 보안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상시 보안점검을 강화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SK 텔레콤 본사를 방문해 사고 조치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유 장관은 2천5백만여 명에 달하는 가입자들의 불편과 우려를 언급하며 사태 해결을 위한 전사적 역량을 총동원해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이 쉽게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유출 사고로 SK 텔레콤에 대한 과징금 규모가 전례 없이 높을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녹취> 최장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
"이런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해서는 글로벌 기업, 국내 기업 가리지 않고 거기에 맞는 엄중한 책임을 물을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서 개보위는 2023년 7월 약 30만 건의 고객 정보를 유출한 LG 유플러스에 68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는데, 이번 유출 사고에 대해선 과징금 액수가 그보다 굉장히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습니다.
개보위는 또 현재까지 이번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가입자 정보가 다크웹 등 음지 사이트에 흘러나간 정황은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조현지)
KTV 박지선입니다.
SK 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재까지 금융권에서 부정 인증 특이 징후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금융당국은 비상대응본부를 꾸리고 상시 보안점검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금융당국이 SK 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유관 기관 점검회의를 열었습니다.
이번 사고 이후 전자 금융 거래 안전성에 대한 금융 소비자 우려가 커지자 금융권 대응 현황을 살피기 위해서입니다.
금융당국은 현재까지 금융권에서 유심을 이용한 부정 인증 등 특이 징후는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다만 비상대응본부를 구성해 이번 사고로 인한 금융권 피해 예방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유관 기관 간 연락체계를 구축하고 매일 대응현황과 특이사항을 확인할 계획입니다.
금융결제원과 신용정보원 등 금융 인프라 기관에 대해선 해킹 등 보안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상시 보안점검을 강화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SK 텔레콤 본사를 방문해 사고 조치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유 장관은 2천5백만여 명에 달하는 가입자들의 불편과 우려를 언급하며 사태 해결을 위한 전사적 역량을 총동원해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이 쉽게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유출 사고로 SK 텔레콤에 대한 과징금 규모가 전례 없이 높을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녹취> 최장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
"이런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해서는 글로벌 기업, 국내 기업 가리지 않고 거기에 맞는 엄중한 책임을 물을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서 개보위는 2023년 7월 약 30만 건의 고객 정보를 유출한 LG 유플러스에 68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는데, 이번 유출 사고에 대해선 과징금 액수가 그보다 굉장히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습니다.
개보위는 또 현재까지 이번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가입자 정보가 다크웹 등 음지 사이트에 흘러나간 정황은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조현지)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809회) 클립영상
- 미국서 만든 완성차 부품관세 2년간 완화 02:00
- 미 해군성 장관 접견···"조선 협력 최적의 파트너" 01:35
- 외국인투자 유치 활성화···R&D·현금 지원 확대 01:51
- 금융당국, SKT 유심 유출 점검회의···"부정 인증 없어" 02:16
- 공항 방위각 시설 전면 교체···사망사고 항공사 운항 제한 02:53
- 3월 전산업생산 0.9%↑···두 달 연속 증가 01:50
- 여름철 대비 '오존 집중관리'···"5~8월 고농도 오존 비상" 02:09
- 우후죽순 골목형상점가···전통시장 소외 우려 02:22
- "러 파병 북한군 600여 명 사망···사상자 4천700여 명" 00:37
- 교육부, 의대 학장단 회동···"30일 자정 기준 유급 확정" 00:25
- 교황 선출 앞둔 바티칸···분위기 고조 [글로벌 핫이슈] 04:42
- 오늘의 증시 (25. 04. 30. 16시) 00:55
- 술·마약·도박·인터넷 '4대 중독' 예방·극복법 [건강 365] 2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