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를 창업 기회로···자원순환·공정혁신 4천186억 투입
등록일 : 2025.05.08 08:52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탄소중립 기술을 창업에 활용하는 새싹기업들이 늘고 있는데요.
정부가 전용 규제자유특구를 새롭게 조성하고 투자를 확대하는 등,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조태영 기자>
(장소: 수퍼빈 / 경기도 화성시)
버려진 페트병, 캔과 같은 순환자원을 판별하는 AI 로봇입니다.
조태영 기자 whxodud1004@korea.kr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하고 페트병을 넣으면 보상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의무로만 여겨졌던 탄소중립이 창업 아이템의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기후테크 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내놓았습니다.
녹취> 오영주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쓰레기 자체가 돈이다. 저희는 기후와 환경 이 모든 부분들이 경제에 해당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먼저 기후테크 특화 민간 투자사를 지정하고, 기후테크 전용 규제자유특구를 신규 조성합니다.
우수 성과 기업에는 조달시장 진출을 연결하고, 포스코 등 대기업과 협업 기회를 지원합니다.
정부는 특히 자원순환, 공정혁신 두 분야 기술을 집중 육성할 계획입니다.
2030년까지 연구·개발에 총 4천186억 원을 투입합니다.
민간 투자자와의 연결도 강화합니다.
벤처캐피탈과 창업자 간 '초격차 멤버십'을 운영합니다.
정기 네트워킹과 실질 투자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아울러 기업 수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해외 현지 실증에 나섭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조태영입니다.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탄소중립 기술을 창업에 활용하는 새싹기업들이 늘고 있는데요.
정부가 전용 규제자유특구를 새롭게 조성하고 투자를 확대하는 등,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조태영 기자>
(장소: 수퍼빈 / 경기도 화성시)
버려진 페트병, 캔과 같은 순환자원을 판별하는 AI 로봇입니다.
조태영 기자 whxodud1004@korea.kr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하고 페트병을 넣으면 보상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의무로만 여겨졌던 탄소중립이 창업 아이템의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기후테크 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내놓았습니다.
녹취> 오영주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쓰레기 자체가 돈이다. 저희는 기후와 환경 이 모든 부분들이 경제에 해당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먼저 기후테크 특화 민간 투자사를 지정하고, 기후테크 전용 규제자유특구를 신규 조성합니다.
우수 성과 기업에는 조달시장 진출을 연결하고, 포스코 등 대기업과 협업 기회를 지원합니다.
정부는 특히 자원순환, 공정혁신 두 분야 기술을 집중 육성할 계획입니다.
2030년까지 연구·개발에 총 4천186억 원을 투입합니다.
민간 투자자와의 연결도 강화합니다.
벤처캐피탈과 창업자 간 '초격차 멤버십'을 운영합니다.
정기 네트워킹과 실질 투자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아울러 기업 수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해외 현지 실증에 나섭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410회) 클립영상
- 이주호 권한대행, 미국 관세조치 대응 점검···"국익 최우선" 02:13
- "체코원전 계약 불가피 연기···신속한 계약 노력" 02:12
- 미 반도체 관세 임박···정부 "특별 고려 요청" 02:34
- 외교장관 통화·USTR 대표 방한···한미, 각급 소통 03:08
- SKT, 해킹 사태 대국민 사과···"고객 피해 없도록 최선" 02:12
- 수소열차 실증 착수···"2028년 상용화 목표" 02:28
- "3단계 DSR 세부안 이달 발표···예보한도 상향 9월부터" 02:46
- 공정위, 티메프 제재···"소비자 환불 지연·미환급" 01:47
- '초고속 산불', 표준매뉴얼에 반영···취약시설 대피계획 수립 01:51
- 권익위, 해외 대졸자 취업 부담 완화안 공공기관에 권고 02:10
- 기후위기를 창업 기회로···자원순환·공정혁신 4천186억 투입 01:28
- 장기요양기관 지정갱신 6월 시행···부실 시 '퇴출' 02:20
- 조규홍 복지장관 "전공의 5월 복귀방안 적극 검토" 00:31
- 선관위, 25일부터 '6·3 대선' 투표용지 인쇄 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