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도, 소비자를 위한 경제적 혜택 강화 필요
등록일 : 2025.05.14 20:32
미니플레이
김현지 기자>
최근 정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 시장 규모는 34조 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런 흐름과는 달리 소비자의 친환경 생활 실천률은 2019년 62.1점에서 2023년 57.1점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성인 소비자 3천200명을 대상으로 친환경 제도 이용 현황을 조사했는데요.
그 결과 4대 친환경 제도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경제적 혜택이 있다면 계속 제도를 이용하겠다고 답했습니다.
대표적으로 탄소중립포인트의 경우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소비자 중 77.5%가 현재도 이용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친환경 제도 중 이용 지속률이 가장 높았는데 주된 이유로 경제적 혜택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밖에도 응답자의 60.1%는 새활용 제품 정보를 QR코드로 제공하는 제도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요.
배송차에 물건이 가득 찼을 때 배송하는 느린 배송이 도입된다면 할인쿠폰 지급보다 포인트 적립 방식을 선택하겠단 응답이 더 많았습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가 친환경 제도 개선에 활용되도록 유관부처와 지자체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보도자료 브리핑이었습니다.
최근 정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친환경 시장 규모는 34조 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런 흐름과는 달리 소비자의 친환경 생활 실천률은 2019년 62.1점에서 2023년 57.1점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성인 소비자 3천200명을 대상으로 친환경 제도 이용 현황을 조사했는데요.
그 결과 4대 친환경 제도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경제적 혜택이 있다면 계속 제도를 이용하겠다고 답했습니다.
대표적으로 탄소중립포인트의 경우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소비자 중 77.5%가 현재도 이용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친환경 제도 중 이용 지속률이 가장 높았는데 주된 이유로 경제적 혜택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밖에도 응답자의 60.1%는 새활용 제품 정보를 QR코드로 제공하는 제도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요.
배송차에 물건이 가득 찼을 때 배송하는 느린 배송이 도입된다면 할인쿠폰 지급보다 포인트 적립 방식을 선택하겠단 응답이 더 많았습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가 친환경 제도 개선에 활용되도록 유관부처와 지자체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보도자료 브리핑이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09회) 클립영상
- 한미 통상장관, 16일 회동···관세 중간 협의 02:30
- "통상환경 불확실성 높아···관세 피해기업 지원 총력" 02:08
- 신시장자금 1천억 원 추가 공급···일대일 전담관제 운영 01:32
- 배터리 순환이용·첨단 GPU 확보···지원방안은? [뉴스의 맥] 03:45
- APEC 제2차 고위관리회의 제주 개최···'미래번영기금' 설립 02:08
- 이 대행, 제주서 안전점검···"올여름 철저히 대비" 01:40
- '민관상생 투자협약' 5곳 선정···인구감소 지역 지원 02:37
- 감사원 "실손·자동차보험, 건보 재정에 부담" 01:51
- 올여름 무더위에 극한호우 전망···위험 실시간 예측 02:23
- 드론 활용해 적 공격···무인체계 운용 검증 훈련 01:58
- ICT 수출액 10.8% 증가···반도체 수출 역대 4월 최대 실적 01:40
- 내년 상반기, '슈퍼컴 6호기' 구축···세계 10위권 기대 02:07
- 오사카 엑스포 '한국 주간'···세계인 사로잡은 한국 문화 02:21
- 정부, 구글 고정밀 지도 국외 반출 유보···8월 결론 00:36
- 문체부, '세종대왕 나신 날' 첫 국가기념일 행사 개최 00:30
- 행안장관 대행, 대선 지원 정보시스템 점검 00:43
- 반달가슴곰 활동 본격화··· 지리산 일대에 공존 위한 탐방 수칙 안내 01:04
-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 전 세계인 만나는 한국 국가유산 00:53
- 친환경 제도, 소비자를 위한 경제적 혜택 강화 필요 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