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이상 흡연하면 소세포폐암 위험 54배↑
등록일 : 2025.05.20 11:34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30년 이상 흡연하거나, 매일 1갑씩 20년 동안 담배를 피우면 소세포폐암 발생 위험이 비흡연자에 비해 최대 54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김현지 앵커>
폐암이나 후두암 발생에 유전적인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정유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정유림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흡연자의 소세포폐암 발병 위험이 비흡연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고 발표했습니다.
전국 18개 검진센터 수검자 13만여 명을 최대 1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입니다.
유전적 위험도가 같다고 했을 때 30년 이상·20갑년 이상 담배를 피운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소세포폐암에 걸릴 위험이 54배 이상 높았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편평세포폐암은 21배, 편평세포후두암의 경우 8배 이상 높았습니다.
갑년은 하루에 피우는 담배의 숫자와 흡연을 한 기간을 곱한 값입니다.
하루 한 갑씩 20년 또는 하루 두 갑씩 10년간 흡연하면 '20갑년'으로 환산됩니다.
암 발병에 유전적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도 주목할 만 합니다.
30년 이상 흡연하거나 20년 이상 하루 1갑씩 담배를 피웠을 때 소세포폐암 발생에 흡연이 기여하는 정도가 98.2%를 차지했습니다.
유전요인은 암 발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선미 / 건강보험연구원 건강보험정책연구실장
"유전적인 위험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흡연이 폐암이라든지 후두암 발생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라는 측면에서 흡연이 이러한 암 발생에 아주 강력한 위험 요인이라는 것을 증명한 연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국내 주요 담배회사들을 상대로 제기한 500억 원대 손해배상 소송이 오는 22일 마지막 변론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결과가 항소심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정유림입니다.
30년 이상 흡연하거나, 매일 1갑씩 20년 동안 담배를 피우면 소세포폐암 발생 위험이 비흡연자에 비해 최대 54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김현지 앵커>
폐암이나 후두암 발생에 유전적인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정유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정유림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흡연자의 소세포폐암 발병 위험이 비흡연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고 발표했습니다.
전국 18개 검진센터 수검자 13만여 명을 최대 1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입니다.
유전적 위험도가 같다고 했을 때 30년 이상·20갑년 이상 담배를 피운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소세포폐암에 걸릴 위험이 54배 이상 높았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편평세포폐암은 21배, 편평세포후두암의 경우 8배 이상 높았습니다.
갑년은 하루에 피우는 담배의 숫자와 흡연을 한 기간을 곱한 값입니다.
하루 한 갑씩 20년 또는 하루 두 갑씩 10년간 흡연하면 '20갑년'으로 환산됩니다.
암 발병에 유전적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도 주목할 만 합니다.
30년 이상 흡연하거나 20년 이상 하루 1갑씩 담배를 피웠을 때 소세포폐암 발생에 흡연이 기여하는 정도가 98.2%를 차지했습니다.
유전요인은 암 발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선미 / 건강보험연구원 건강보험정책연구실장
"유전적인 위험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흡연이 폐암이라든지 후두암 발생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라는 측면에서 흡연이 이러한 암 발생에 아주 강력한 위험 요인이라는 것을 증명한 연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국내 주요 담배회사들을 상대로 제기한 500억 원대 손해배상 소송이 오는 22일 마지막 변론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결과가 항소심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804회) 클립영상
- 한미 관세 '2차 기술협의' 정부 대표단 방미 02:18
- 2025 글로벌 탤런트 페어···국내외 인재 한자리에 01:54
- SKT 유심정보 2천695만 건 이상 유출···감염서버 추가 발견 02:26
- 지진 등 자연재난 대응···상반기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02:01
- 오늘부터 118개국서 대선 재외투표 시작···"신분증 지참" 00:36
- 5월 동행축제 중간매출 1천799억 원···30일까지 진행 02:07
- 30년 이상 흡연하면 소세포폐암 위험 54배↑ 02:01
- 오늘의 날씨 (25. 05. 20. 10시) 00:54
- "한미 '7월 패키지' 목표", 정부 대표단 방미 25:36
- 제22회 국무회의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모두발언 05:15
- 트럼프-푸틴 통화···협상 재개 [월드 투데이] 05:29
- 기후변화 대응 '물 위기 극복' 주요 내용은? 15:43
- 이 대행 "선거는 민주주의 꽃···공정·투명한 관리" 00:28
- 취약계층 생계형 민원, 패스트트랙으로 신속 처리 02:18
- 산업부 "대학 자체 AI연구시설, 전력계통영향평가 제외 대상" [정책 바로보기] 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