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인증등급 6등급 세분화···체력 증진 활동 문턱 낮춘다
등록일 : 2025.05.22 20:25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대국민 스포츠 복지 서비스인 '국민체력 100'에 참여하기 위해선 체력 인증 등급을 받아야 하는데요.
현행 인증 체계의 기준이 너무 높다는 지적에 따라, 정부가 인증 등급을 세분화하고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과학적 방법으로 체력을 측정, 평가하고 운동 방법을 상담, 처방해 주는 대국민 스포츠 복지서비스 국민체력100.
국민체력100에 참여하기 위해선 체력인증등급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참여자의 약 60%가 등급 외 판정을 받는 등 현행 인증 체계의 기준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
문화체육관광부는 체력인증등급을 세분화하고 확대하도록 규정을 정비했습니다.
체력인증등급은 기존 3등급 체계에서 6등급 체계로 개정됩니다.
인증 기준도 심폐지구력 또는 근력 중 최소 한 가지만 70% 이상이면 등급을 받도록 개정됐습니다.
본인 확인 절차에서 참여자 신분증 확인을 의무화하고,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 기준을 대한비만학회에 맞추는 규정도 마련됐습니다.
문체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더욱 많은 국민이 체력 증진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체력 측정 참여 증가로 국민체력 측정통계 결과가 더욱 정확해져 의료, 보건 등 관련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전화인터뷰> 석진영 /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진흥과장
"체력인증등급 세분화로 정밀한 운동처방이 가능해져 국민건강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체부는 체력인증센터 추가 확충을 비롯해 체력 측정과 운동 처방 고도화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윤현석입니다.
대국민 스포츠 복지 서비스인 '국민체력 100'에 참여하기 위해선 체력 인증 등급을 받아야 하는데요.
현행 인증 체계의 기준이 너무 높다는 지적에 따라, 정부가 인증 등급을 세분화하고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과학적 방법으로 체력을 측정, 평가하고 운동 방법을 상담, 처방해 주는 대국민 스포츠 복지서비스 국민체력100.
국민체력100에 참여하기 위해선 체력인증등급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참여자의 약 60%가 등급 외 판정을 받는 등 현행 인증 체계의 기준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
문화체육관광부는 체력인증등급을 세분화하고 확대하도록 규정을 정비했습니다.
체력인증등급은 기존 3등급 체계에서 6등급 체계로 개정됩니다.
인증 기준도 심폐지구력 또는 근력 중 최소 한 가지만 70% 이상이면 등급을 받도록 개정됐습니다.
본인 확인 절차에서 참여자 신분증 확인을 의무화하고,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 기준을 대한비만학회에 맞추는 규정도 마련됐습니다.
문체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더욱 많은 국민이 체력 증진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체력 측정 참여 증가로 국민체력 측정통계 결과가 더욱 정확해져 의료, 보건 등 관련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전화인터뷰> 석진영 /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진흥과장
"체력인증등급 세분화로 정밀한 운동처방이 가능해져 국민건강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체부는 체력인증센터 추가 확충을 비롯해 체력 측정과 운동 처방 고도화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15회) 클립영상
- APEC 준비위원회···이 대행 "국가신인도 높이는 계기" 02:03
- 한·일·대만, 미국에 반도체 관세 자제 요청 02:47
- 정부, 미 관세대응 충격 현장 청취···'해결 방안 모색 노력' 02:25
- 의약품 관세 구체화 대비···농식품 수출기업 부담 완화 [뉴스의 맥] 02:56
- 북, 함정 진수 실패 후 미사일 발사···군 "사전에 인지" 01:50
- 육군, 폴란드군 대상 다연장로켓 '천무' 교육 실시 00:40
- 누리호, 28년부터 민간 독자 발사···화성 탐사 TF 구성 02:28
- 유튜브 뮤직 뺀 '라이트 요금제' 출시 전망···동의의결 개시 02:13
- 부동산 부실 PF 24조 원···상반기 52.7% 정리 전망 02:00
- '코인 이상거래' 절반은 2030···"API 고가매수는 불공정거래" 02:10
- 낙태·위장 출혈?···해외 직구 건강기능식품 주의 02:03
- '소상공인 새출발 지원센터' 출범···채무조정·재기 지원 02:26
- 체력인증등급 6등급 세분화···체력 증진 활동 문턱 낮춘다 01:44
- 때 이른 더위 주춤···당분간 일교차 큰 날씨 01:15
- 금감원·금보원, 통합관제체계 구축···보안 위협 대응 00:26
- 건보공단 '500억 담배소송' 항소심 최종 변론 00:37
- 전국 타이어공장 '긴급 화재안전조사' 01:01
- 위험성평가를 지원받은 사업장, 사고사망자 수 66.7% 감소 00:49
- 한미, 6·25 전사자 공동 유해발굴 개시 00:45
- 기아·비엠더블유 등 자발적 시정 조치(리콜) 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