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받은 양육비 정부가 선지급···안정적 양육환경 기대
등록일 : 2025.07.01 20:03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한부모 가족에게 국가가 양육비를 우선 지급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오늘부터 시행됩니다.
홀로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경제적 부담이 한층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5년 전 이혼 후 혼자서 중학생 딸을 키우고 있는 김 모 씨.
매달 양육비 60만 원을 전 배우자에게 받아야 하지만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녹취> 양육비 미지급 피해자
"양육비 제대로 못 받고 이제 좀 힘들고... 이혼하고 나서 아이들 위해서 양육비를 안 주면 안 되겠구나, 이러면 큰일 나겠구나, 정도로 조금 강력하게 했으면 좋겠어요."
김 씨와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한 양육비 선지급제도가 1일부터 본격 시행됐습니다.
윤현석 기자 yoonhyun1118@korea.kr
"선지급 대상은 양육비 확보를 위한 노력에도 3개월 이상 양육비를 받지 못한 중위 소득 150% 이하 한부모 가족의 미성년 자녀입니다. 신청 요건을 충족한 경우 미성년 자녀가 성년이 될 때까지 자녀 한 사람 당 월 2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정부가 파악한 올해 기준 양육비 선지급제 수혜자 규모는 1만3천여 명입니다.
녹취> 양육비 미지급 피해자
"사실은 되게 반가웠죠. 일단 학원비로 써야 돼요. 왜냐면 다니고 싶어 하니까."
선지급된 양육비는 정부가 양육비를 밀린 부모에게 회수합니다.
회수는 6개월에 한 번씩 진행됩니다.
회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독촉 절차에 들어가고, 독촉에도 불구하고 선지급금을 내지 않는 경우 강제징수에 나섭니다.
녹취> 양세희 / 양육비이행관리원 양육비선지급부장
"특별히 올해부터는 채무자의 동의 없이도 금융 재산을 볼 수 있게 됐고, 금융 재산을 비롯해서 채무자의 소득 재산을 조회한 후에 확인이 된 재산에 대해서 압류와 강제 경매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양육비 선지급을 희망하는 한부모는 양육비이행관리원 누리집 또는 우편으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영상취재: 임주완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선지급금은 매월 25일 지급될 예정입니다.
KTV 윤현석입니다.
한부모 가족에게 국가가 양육비를 우선 지급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오늘부터 시행됩니다.
홀로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경제적 부담이 한층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5년 전 이혼 후 혼자서 중학생 딸을 키우고 있는 김 모 씨.
매달 양육비 60만 원을 전 배우자에게 받아야 하지만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녹취> 양육비 미지급 피해자
"양육비 제대로 못 받고 이제 좀 힘들고... 이혼하고 나서 아이들 위해서 양육비를 안 주면 안 되겠구나, 이러면 큰일 나겠구나, 정도로 조금 강력하게 했으면 좋겠어요."
김 씨와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한 양육비 선지급제도가 1일부터 본격 시행됐습니다.
윤현석 기자 yoonhyun1118@korea.kr
"선지급 대상은 양육비 확보를 위한 노력에도 3개월 이상 양육비를 받지 못한 중위 소득 150% 이하 한부모 가족의 미성년 자녀입니다. 신청 요건을 충족한 경우 미성년 자녀가 성년이 될 때까지 자녀 한 사람 당 월 2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정부가 파악한 올해 기준 양육비 선지급제 수혜자 규모는 1만3천여 명입니다.
녹취> 양육비 미지급 피해자
"사실은 되게 반가웠죠. 일단 학원비로 써야 돼요. 왜냐면 다니고 싶어 하니까."
선지급된 양육비는 정부가 양육비를 밀린 부모에게 회수합니다.
회수는 6개월에 한 번씩 진행됩니다.
회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독촉 절차에 들어가고, 독촉에도 불구하고 선지급금을 내지 않는 경우 강제징수에 나섭니다.
녹취> 양세희 / 양육비이행관리원 양육비선지급부장
"특별히 올해부터는 채무자의 동의 없이도 금융 재산을 볼 수 있게 됐고, 금융 재산을 비롯해서 채무자의 소득 재산을 조회한 후에 확인이 된 재산에 대해서 압류와 강제 경매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양육비 선지급을 희망하는 한부모는 양육비이행관리원 누리집 또는 우편으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영상취재: 임주완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선지급금은 매월 25일 지급될 예정입니다.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41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장마·혹서 대비···취약층 각별 관리" 02:17
- 추서 예우 현실화···유족급여 인상 01:55
- 이 대통령, UAE·뉴질랜드와 첫 정상 통화 00:39
- 트럼프, 국가별 관세율 주중 결정···쌀 문제 일본 압박 02:14
- 6월 수출, 플러스 전환···반도체 사상 최대 실적 01:31
- 정부조직 개편 속도···'찾아가는 모두의 버스' 출발 01:52
- 폭우와 폭염 오가는 '도깨비 장마'···안전 대비 필수 02:44
- 밤낮 없는 무더위···온열질환 예방법은? [뉴스의 맥] 03:26
- '3단계 DSR' 시행···1억 원까지 예금 보호 02:34
- 못 받은 양육비 정부가 선지급···안정적 양육환경 기대 01:57
- 연예인 등 질병으로 군 면제 시 3년간 추적 관찰 02:06
- "인테리어 계약 후 연락 두절"···용역 중개 플랫폼 피해 증가 02:29
- 나트륨 섭취 줄었지만···여전히 WHO 기준 1.6배 02:14
- 이 대통령, 3일 비교섭단체 5당 대표와 오찬 00:36
- 김혜경 여사, 여성 기업인 만나 격려···"위기 극복 앞장서주길" 00:32
- 작년 HIV 신규 감염 975명···전년 대비 3% 감소 00:31
- 휴대전화 개통 시 모바일 신분증 이용 확대 00:58
- 숨은보험금 11조 2천억 원을 찾아가세요 00:49
- 이번 여름엔 '한국관광 100선'으로 떠나요 00:47
- 우리 동네 문화 매력, 대한민국 대표하는 지역문화 '로컬100'으로 알리자 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