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대통령실, 관세 대응 긴급회의···'3주 총력전' [뉴스의 맥]
등록일 : 2025.07.08 20:00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앞서 뉴스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서 한국이 3주 정도 시간을 벌게 됐습니다.
우리 입장에선 귀중한 시간을 얻은 셈인데요.
뉴스룸에 나와있는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정유림 기자, 트럼프 대통령 통보 내용부터 간단히 짚고 넘어가보죠.
당초 9일부터 적용 예정이던 25% 상호관세율은 유지하고 부과 시점을 미루겠다는 거죠?

정유림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25% 상호관세율을 다음달 1일에 부과하겠다, 이렇게 밝혔습니다.
관세율은 놔두고 부과 시점만 3주 정도 연장한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협상을 통한 상호관세율 조정이나 관세 부과일 연장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

김경호 앵커>
우리로서는 3주의 시간을 정말 잘 활용해야 할 것 같은데요, 우선 대통령실 긴급회의 소식부터 전해주시죠.

정유림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1일부터 한국에 상호 관세 25%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대통령실은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한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습니다.
김용범 실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했는데요, 김 실장은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7월 말까지 대응시간을 확보한 만큼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강유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다음 달 1일까지 협상 시간을 얻었다는 데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일본이나 말레이시아 같은 경우 1%p 관세가 더 올랐는데 우리는 최악은 면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아직 시기는 조율 중이지만 한미정상회담 등 다양한 외교채널을 통해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현재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워싱턴에서 막판 협상을 진행 중인데요.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현안을 협의했다면서요?

정유림 기자>
네, 방미 중인 고위 당국자들도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현지시각으로 7일 카운터 파트인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을 만났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한을 보낸 이후 진행된 일정이었는데요, 대통령실은 "위 실장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갖고, 고위급 교류를 포함한 한미 관계 발전 방안 등에 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미국 측은 이번 협의에서 "다음달 1일 상호관세 부과 전까지 관세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하길 바란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이와 함께 방미 중인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도 미국 상무부 장관과 만났는데요, 여 본부장은 한국이 오랜 동맹국으로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특별한 파트너임을 강조하면서 자동차·철강 등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품에 부과된 품목관세를 놓고 경쟁국과 대비해 우호적인 대우를 요청했습니다.
여 본부장과 러트닉 상무장관은 다시 한번 만남을 갖고 추가 협의를 이어나가기로 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한숨은 돌렸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한데요, 우리 정부는 남은 3주 동안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춰 협상에 나서게 될까요?

정유림 기자>
네, 현재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자동차부품에 25%, 철강·알루미늄 등에 50% 품목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가 가장 사활을 거는 부분이 바로 품목 관세 감면을 관철시키는 건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서한에서 상호관세에는 조정의 여지를 남기면서도 품목 관세는 별도라면서 선을 그었거든요.
품목 관세의 경우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미국이 줄곧 유지해 왔는데요.
이를 어떻게 협상에서 풀어나갈 수 있을지, 또 한미 정상회담은 어느 시점에서 추진해야 할지도 정부가 크게 고민해야 할 대목으로 보입니다.

김경호 앵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정유림 기자 수고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