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낮없는 무더위···폭염 대비 수칙 [뉴스의 맥]
등록일 : 2025.07.09 20:09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한낮에는 35도를 웃도는 불볕더위가, 밤에는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폭염 상황과 온열 질환 예방을 위한 행동 요령, 취재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신경은 기자, 수도권의 한낮 기온이 35도를 오르내릴정도로 연일 극심한 폭염이 기승이죠?
신경은 기자>
네, 요즘 밤과 낮 가릴 것 없이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서울은 지난 밤사이 최저 기온이 27.4도를 기록하면서, 열흘 째 '열대야'가 나타났습니다.
특히 8일에는 서울의 낮 기온이 '37.8도'까지 올랐는데요.
역대 7월 상순 기준 '최고 기온'을 기록했고요.
경기 광명, 파주 등 일부 지역은 올여름 처음으로 '40도'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최근 서쪽 지역 중심으로 극심한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원인이 뭔가요?
신경은 기자>
최근 폭염의 원인은 '뜨거워진 동풍'입니다.
동풍이 태백산맥을 넘는 과정에서 열기가 더해졌고, 여기에 강한 햇볕까지 내리쬐면서 기온이 크게 오른겁니다.
뜨거운 '동풍' 영향으로, 당분간 폭염의 기세가 이어질 전망인데요.
기상청의 설명, 들어보시죠.
녹취> 남민지 / 기상청 예보분석관
“동해북부해상에 위치한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동풍이 지속되면서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체감온도 35도 내외의 더운 날씨가 이어지겠습니다.”
김경호 앵커>
무더위 탓에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도 크게 늘었다고요?
신경은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7일 하루에만 98명의 온열질환자가 응급실을 찾았고요.
지난 5월 '온열 질환 감시체계' 가동 이후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천 명에 달합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2배 늘어난 것입니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7명인데요.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김경호 앵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 수칙을 잘 지키는 게 중요할텐데요.
예방 수칙, 어떤 게 있을까요?
신경은 기자>
우선 무더운 낮 시간대 외출은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불가피하게 밖에 나선다면 모자나 양산 등을 챙겨야하고요.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 물을 조금씩, 자주 마셔야 합니다.
또 열대야가 이어지는 만큼 '야간 건강 수칙'을 지키는 것도 중요한데요.
취침 전에는 과식하거나 카페인을 섭취하는 건 자제하는 게 좋고요.
찬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샤워하는 게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김경호 앵커>
폭염 상황과 온열질환 예방 수칙까지 짚어봤습니다.
신경은 기자, 잘 들었습니다.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한낮에는 35도를 웃도는 불볕더위가, 밤에는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폭염 상황과 온열 질환 예방을 위한 행동 요령, 취재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신경은 기자, 수도권의 한낮 기온이 35도를 오르내릴정도로 연일 극심한 폭염이 기승이죠?
신경은 기자>
네, 요즘 밤과 낮 가릴 것 없이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서울은 지난 밤사이 최저 기온이 27.4도를 기록하면서, 열흘 째 '열대야'가 나타났습니다.
특히 8일에는 서울의 낮 기온이 '37.8도'까지 올랐는데요.
역대 7월 상순 기준 '최고 기온'을 기록했고요.
경기 광명, 파주 등 일부 지역은 올여름 처음으로 '40도'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최근 서쪽 지역 중심으로 극심한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원인이 뭔가요?
신경은 기자>
최근 폭염의 원인은 '뜨거워진 동풍'입니다.
동풍이 태백산맥을 넘는 과정에서 열기가 더해졌고, 여기에 강한 햇볕까지 내리쬐면서 기온이 크게 오른겁니다.
뜨거운 '동풍' 영향으로, 당분간 폭염의 기세가 이어질 전망인데요.
기상청의 설명, 들어보시죠.
녹취> 남민지 / 기상청 예보분석관
“동해북부해상에 위치한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동풍이 지속되면서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체감온도 35도 내외의 더운 날씨가 이어지겠습니다.”
김경호 앵커>
무더위 탓에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도 크게 늘었다고요?
신경은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7일 하루에만 98명의 온열질환자가 응급실을 찾았고요.
지난 5월 '온열 질환 감시체계' 가동 이후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천 명에 달합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2배 늘어난 것입니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7명인데요.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김경호 앵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 수칙을 잘 지키는 게 중요할텐데요.
예방 수칙, 어떤 게 있을까요?
신경은 기자>
우선 무더운 낮 시간대 외출은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불가피하게 밖에 나선다면 모자나 양산 등을 챙겨야하고요.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 물을 조금씩, 자주 마셔야 합니다.
또 열대야가 이어지는 만큼 '야간 건강 수칙'을 지키는 것도 중요한데요.
취침 전에는 과식하거나 카페인을 섭취하는 건 자제하는 게 좋고요.
찬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샤워하는 게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김경호 앵커>
폭염 상황과 온열질환 예방 수칙까지 짚어봤습니다.
신경은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47회) 클립영상
- "구리 50%·의약품 200% 관세 부과···반도체 곧 발표" 01:51
- '수출바우처 플라자' 개최···대체시장 진출 방안 공유 01:57
- 이 대통령 "갈등 격화···포용적 세상 위해 종교계 역할 중요" 01:49
- 정부 "동·서해 표류 북한 주민 6명 송환" 01:41
- 해군, P-3C초계기 비행훈련 내일 재개 00:44
- 6월 가계 대출 6조5천억 원↑···"당분간 증가 전망" 02:28
-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원 스트라이크 아웃" 02:08
- 밤낮없는 무더위···폭염 대비 수칙 [뉴스의 맥] 02:55
- 국정위, '메가 샌드박스' 논의···적극 행정 활성화 검토 02:02
- 지속가능한 미래 위한 사회 역할 모색···인구포럼 개최 02:01
- 산업재해 '근본적 해법' 찾는다···범정부 1차 회의 02:17
- 폭염에 '장관감염증' 증가···"예방수칙 준수해야" 02:12
- 하천부터 맨홀까지···정부, '침수 취약지' 현장 점검 02:02
- 육·해·공 무인이동체 총집합···군 작전·야간 수색 활용 02:34
- SKT, 해외체류·군 복무 등에 위약금 면제 기간 별도 적용 00:32
- 식약처, 카페·편의점 얼음 검사···6건 적발 00:41
- 일반 순직 소방공무원도 특별승진 가능토록··· 00:55
- 품질·가격 비교정보, 소비자의 제품 구매 결정에 끼치는 영향력 높아 00:53
- 무선충전기 충전은 간편하게, 사용은 안전하게! 00:51
- 중소 수출기업의 원산지검증 대응, 관세청이 함께합니다 00:57
- 공과금·운영자금·배달비까지! '소상공인 3대 지원사업' 시행 [클릭K+] 04:22
- 대통령실 브리핑 - 관세협상·방위비 관련 (25. 07. 09. 19시) 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