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2시간마다 20분 휴식···17일부터 의무화
등록일 : 2025.07.16 07:52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정부가 오는 17일부터 폭염 상황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휴식을 의무화합니다.
체감온도 33도 이상인 작업장에서는 근로자에게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을 부여해야 합니다.
임보라 기자입니다.
임보라 기자>
최근 경북 구미의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베트남 국적의 근로자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발견 당시 기온은 37도, 체온은 40도 이상이었습니다.
녹취> 함승헌 / 가천대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두통이나 어지럼, 근육경련, 피로감 등이 대표적인 (온열질환의) 증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상태를 방치하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질환으로서..."
정부가 오는 17일부터 폭염 상황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휴식을 의무화합니다.
체감온도 33도 이상인 작업장에서는 근로자에게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을 부여해야 합니다.
현장 여건에 따라 1시간마다 10분 휴식 등 유연한 조치도 가능합니다.
재난 수습 등 돌발 상황에서 작업하는 경우 개인용 냉방장치 지급으로 휴식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체감온도 35도 이상일 경우에는 매시간 15분 이상 휴식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 오후 2시에서 5시 사이에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옥외 작업을 중단해야 합니다.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또 근로자가 땀을 많이 흘리는 장소에는 생수와 소금을 비치해야 합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50인 미만 폭염 고위험 사업장에 이동식 에어컨과 제빙기 등을 지원합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불시 점검을 통해 휴식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중대재해 발생 시 수사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KTV 임보라입니다.
정부가 오는 17일부터 폭염 상황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휴식을 의무화합니다.
체감온도 33도 이상인 작업장에서는 근로자에게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을 부여해야 합니다.
임보라 기자입니다.
임보라 기자>
최근 경북 구미의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베트남 국적의 근로자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발견 당시 기온은 37도, 체온은 40도 이상이었습니다.
녹취> 함승헌 / 가천대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두통이나 어지럼, 근육경련, 피로감 등이 대표적인 (온열질환의) 증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상태를 방치하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질환으로서..."
정부가 오는 17일부터 폭염 상황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휴식을 의무화합니다.
체감온도 33도 이상인 작업장에서는 근로자에게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을 부여해야 합니다.
현장 여건에 따라 1시간마다 10분 휴식 등 유연한 조치도 가능합니다.
재난 수습 등 돌발 상황에서 작업하는 경우 개인용 냉방장치 지급으로 휴식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체감온도 35도 이상일 경우에는 매시간 15분 이상 휴식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 오후 2시에서 5시 사이에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옥외 작업을 중단해야 합니다.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또 근로자가 땀을 많이 흘리는 장소에는 생수와 소금을 비치해야 합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50인 미만 폭염 고위험 사업장에 이동식 에어컨과 제빙기 등을 지원합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불시 점검을 통해 휴식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중대재해 발생 시 수사에 착수할 방침입니다.
KTV 임보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455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낭비성 예산 조정···민생 중심 효율 편성" 02:15
- '이사 충실의무 확대·3%룰' 상법개정안 의결 01:38
- 교육부 "대학과 의대생 복귀 방안 마련할 것" 00:28
- 이 대통령, 20개국 정상에 APEC 초청 서한···"최고 수준 개최" 01:58
- 일 방위백서 독도 영유권 주장···"강력 항의, 즉각 철회" 00:51
- 폭염 속 2시간마다 20분 휴식···17일부터 의무화 01:44
- 감사원 "무더위 쉼터, 지역 특성 반영해야" 02:17
- 우수 인재 유출 대응···모두의 광장 누적 정책제안 100만 건 돌파 03:07
- "밥상 부담 던다"···국산 농축산물·가공식품 할인 02:13
-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부터 지급···신생아도 수령 가능 02:05
- '유튜브 프리미엄라이트' 출시···뮤직 빼고 월 8천500원 02:59
- 6월 소비자상담 23.6%↑···OTT 계정공유 피해 증가 01:48
- '삭센다·위고비' 비만치료제···"실손보험 대상 아니다" 02:06
- 해외여행 뒤 홍역 감염 주의···영아도 접종 권고 02:16
- 국민참여 예산 플랫폼 가동···25일까지 의견 접수 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