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보호한도 1억 원으로 인상···응급장비 관리도 강화
등록일 : 2025.07.22 20:58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오는 9월부터 예금보호한도가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확대됩니다.
공공장소에서 응급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을 경우 과태료도 인상됩니다.
국무회의 안건, 임보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임보라 기자>
예금보호한도는 지난 2001년 이후 24년 동안 5천만 원으로 묶여있었습니다.
9월 1일부터는 한도가 1억 원으로 인상됩니다.
예금자는 금융회사가 파산하더라도 이자를 포함해 1억 원까지 보호받게 된 겁니다.
앞으로는 5천만 원씩 분산 예치하던 불편함도 사라질 전망입니다.
인상된 한도는 일반 예금 뿐만 아니라 퇴직연금, 연금저축, 사고보험금까지 적용됩니다.
다만 투자상품은 보호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녹취>권혁중 / 경제평론가
"다만 주의할 점은 투자상품, 원래 투자상품은 보호대상이 아니라는 거, 대표적인 게 펀드죠. 이런 건 보호대상이 아니라는 걸 다시 한 번 강조해드리고요."
공공장소에 비치되는 심장충격기 등 응급장비의 관리도 엄격해집니다.
장비의 위치와 사용 방법 등을 안내하지 않으면 최대 7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장비를 아예 갖추지 않을 경우 최대 2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물게 됩니다.
테러 피해자에 대한 지원도 강화됩니다.
지원 신청 기한이 피해 발생 후 6개월 이내에서 피해 사실을 안 날로부터 3년 이내로 연장됩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이 밖에도 법률안 1건과 대통령령안 18건, 일반안건 1건 등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
KTV 임보라입니다.
오는 9월부터 예금보호한도가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확대됩니다.
공공장소에서 응급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을 경우 과태료도 인상됩니다.
국무회의 안건, 임보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임보라 기자>
예금보호한도는 지난 2001년 이후 24년 동안 5천만 원으로 묶여있었습니다.
9월 1일부터는 한도가 1억 원으로 인상됩니다.
예금자는 금융회사가 파산하더라도 이자를 포함해 1억 원까지 보호받게 된 겁니다.
앞으로는 5천만 원씩 분산 예치하던 불편함도 사라질 전망입니다.
인상된 한도는 일반 예금 뿐만 아니라 퇴직연금, 연금저축, 사고보험금까지 적용됩니다.
다만 투자상품은 보호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녹취>권혁중 / 경제평론가
"다만 주의할 점은 투자상품, 원래 투자상품은 보호대상이 아니라는 거, 대표적인 게 펀드죠. 이런 건 보호대상이 아니라는 걸 다시 한 번 강조해드리고요."
공공장소에 비치되는 심장충격기 등 응급장비의 관리도 엄격해집니다.
장비의 위치와 사용 방법 등을 안내하지 않으면 최대 7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장비를 아예 갖추지 않을 경우 최대 2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물게 됩니다.
테러 피해자에 대한 지원도 강화됩니다.
지원 신청 기한이 피해 발생 후 6개월 이내에서 피해 사실을 안 날로부터 3년 이내로 연장됩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이 밖에도 법률안 1건과 대통령령안 18건, 일반안건 1건 등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
KTV 임보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56회) 클립영상
- "공직사회 신상필벌 중요···음주가무 엄격히 단속" 03:09
- 대통령실 브리핑 - 소비쿠폰 관련 01:27
- 예금보호한도 1억 원으로 인상···응급장비 관리도 강화 01:32
- 이재민 심리지원·피해 소상공인에 최대 1억 대출 02:03
- 국가유산 집중호우 피해 18건으로 늘어 00:34
- 25일 한미 '재무·통상 2+2 협의' ···외교·산업도 대응 02:14
- 국정위 "정부 조직개편 조정 중···청소년 국정위원회 발대" 02:33
- 소비쿠폰 첫날 698만 명 신청···부정유통 관리 강화 02:33
- 대도시-읍면 지역, 중·고생 학업성취 격차 '뚜렷' 02:10
- '휴가철 특별교통대책' 실시···도로 탄력 운영 02:45
- '무허가 스테로이드 제조·판매' 모자 적발 02:11
- 불법 도박 조직에 가상계좌 제공···범죄 가담 PG사 4곳 적발 01:48
- '육아기 유연근무' 확산···장려금 지급 지난해 보다 3배↑ 01:36
- 절기 '대서', 무더위 기승···곳곳 강한 소나기 02:13
- 김 총리, 일부 지자체 폭우대응 점검 지시 00:36
- 한미, 국내 업체 참여 MRO 시범사업에 시누크 엔진 선정 00:41
- 이 대통령, 경남 산청 등 6곳 특별재난지역 우선 선포 00:31
-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피해, 계약 관련 피해가 대부분 01:05
- 물놀이 사망 7월 하순에 최다, 안전 수칙 지키며 안전하게 물놀이 즐겨요! 00:52
- '적조·해파리' 확산으로 국민 피해 차단을 위한 항공 집중 운항 00:44
- 해수욕장에서 즐기는 '디지털윤리' 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