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전국 땅값 1.05% 상승···'강남·용산' 1·2위
등록일 : 2025.07.25 11:40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올해 상반기 전국의 땅값이 1.05% 올랐습니다.
특히 서울 강남구와 용산구의 상승률이 나란히 1, 2위를 기록했습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1.05% 올랐습니다.
다만 상승률은 작년 하반기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수도권과 지방의 상승 폭 모두 주춤했습니다.
지역별로는 2개 시도의 땅값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서울의 상승률은 1.73%, 경기도는 1.17%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제주도의 땅값만 0.38% 떨어졌습니다.
전화 인터뷰> 강자영 / 한국부동산원 토지통계부장
"제주도의 경우에는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으로 경기 회복이 더디고 거래가 위축되면서 투자 수요도 유입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지가가 하락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서울 강남구의 상승률이 2.81%로 가장 크게 올랐습니다.
서울 용산구가 2.61%, 용인 처인구가 2.37%로 뒤를 이었습니다.
252개 시군구 중 47곳의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상회했습니다.
인구감소지역 89개 시군구의 땅값 상승률은 0.348%로 나타났습니다.
비대상 지역의 상승률보다 0.758%p 낮았습니다.
올해 상반기 전체 토지 거래량은 90만7천 필지로 1년 전보다 2.5% 줄었습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 토지 거래량은 30만8천 필지로 10.9% 감소했습니다.
작년 하반기 대비 지역별 전체 토지 거래량은 세종과 울산 등 5개 시도에서 늘고, 12개 시도에서 줄었습니다.
순수 토지 거래량은 광주와 부산, 전남 등 8개 시도에서 증가한 반면, 9개 시도에서 감소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김경호입니다.
올해 상반기 전국의 땅값이 1.05% 올랐습니다.
특히 서울 강남구와 용산구의 상승률이 나란히 1, 2위를 기록했습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1.05% 올랐습니다.
다만 상승률은 작년 하반기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수도권과 지방의 상승 폭 모두 주춤했습니다.
지역별로는 2개 시도의 땅값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서울의 상승률은 1.73%, 경기도는 1.17%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제주도의 땅값만 0.38% 떨어졌습니다.
전화 인터뷰> 강자영 / 한국부동산원 토지통계부장
"제주도의 경우에는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으로 경기 회복이 더디고 거래가 위축되면서 투자 수요도 유입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지가가 하락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서울 강남구의 상승률이 2.81%로 가장 크게 올랐습니다.
서울 용산구가 2.61%, 용인 처인구가 2.37%로 뒤를 이었습니다.
252개 시군구 중 47곳의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상회했습니다.
인구감소지역 89개 시군구의 땅값 상승률은 0.348%로 나타났습니다.
비대상 지역의 상승률보다 0.758%p 낮았습니다.
올해 상반기 전체 토지 거래량은 90만7천 필지로 1년 전보다 2.5% 줄었습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 토지 거래량은 30만8천 필지로 10.9% 감소했습니다.
작년 하반기 대비 지역별 전체 토지 거래량은 세종과 울산 등 5개 시도에서 늘고, 12개 시도에서 줄었습니다.
순수 토지 거래량은 광주와 부산, 전남 등 8개 시도에서 증가한 반면, 9개 시도에서 감소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849회) 클립영상
- 한미 통상장관 80분 협상···트럼프 "일본처럼 돈 내면 관세 인하" 01:45
- "이주노동자 인권침해, 국가 품격 훼손···철저히 엄단" 02:10
- 이 대통령, 부산서 타운홀미팅···해수부 이전 논의 00:24
- 올 상반기 전국 땅값 1.05% 상승···'강남·용산' 1·2위 01:55
- 3기 신도시 '남양주왕숙' 본청약 시작···1천30가구 공급 02:28
- 정부 '온열질환 매뉴얼' 개정···장애인용 예방수칙 추가 01:42
- 2025 어린이 안전박람회···"직접 체험하는 안전의 모든 것" 02:05
- 소비쿠폰 신청자 2천8백만 명···5조2천억 지급 00:23
- 오늘 오전 10시부터 '영화 6천 원 할인권' 배포 00:22
- 오늘의 날씨 (25. 07. 25. 10시) 01:04
- "국민이 투자해야 기업·나라가 산다" 20:31
- 트럼프, 연준 방문해 파월 의장 만나 [월드 투데이] 05:47
- 농업, 국가전략 산업으로 육성 18:39
-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 브리핑 05:33
- 익수사고 환자 29% 사망···"안전수칙 준수해야" 01:54
- 방통위 "단통법 폐지 관련 시장혼란 방지에 선제적 대응" [정책 바로보기] 0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