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83.5년···국민 1인 외래진료 '최다'
등록일 : 2025.07.30 19:59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2023년에 태어난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예측됐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 가운데서도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진료 의사 수는 회원국 평균에 못 미친 반면, 병원 외래 진료는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먼저 기대수명입니다.
2023년 태어난 아이의 경우 83.5년 살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보다 2.4년 깁니다.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치료해 피할 수 있는 죽음, 이른바 회피 가능 사망률도 살펴봤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151명으로 OECD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이 수치가 낮다는 건 제대로 된 보건 의료시스템이 작동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OECD 국가와 비교했을 때 자살 사망률 1위 기록은 2003년 이후로 깨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자살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한의사를 포함한 임상 의사 수는 OECD 평균에 크게 못 미쳤습니다.
인구 1천 명당 2.7명으로, 일본에 이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적었습니다.
반면 MRI, CT 등 주요 장비 보유 대수는 상위권이었습니다.
병원은 가장 많이 다녔습니다.
한 사람이 연간 18회 외래 진료를 받아 OECD 평균의 2.8배에 달했고 전체 회원국 중 가장 많았습니다.
가장 적게 다닌 나라와 비교하면 10배나 차이납니다.
상대적으로 높은 의료 접근성 덕분으로 분석됩니다.
입원일수도 OECD 국가 중에서 일본 다음으로 길었습니다.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 요소도 분석했습니다.
흡연은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OECD 평균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류 소비량도 10년 사이 계속 줄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 소비량은 연간 7.8리터로, OECD 평균보다 적었습니다.
과체중과 비만 인구 비율은 36.5%로,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2023년에 태어난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예측됐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 가운데서도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진료 의사 수는 회원국 평균에 못 미친 반면, 병원 외래 진료는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먼저 기대수명입니다.
2023년 태어난 아이의 경우 83.5년 살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보다 2.4년 깁니다.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치료해 피할 수 있는 죽음, 이른바 회피 가능 사망률도 살펴봤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151명으로 OECD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이 수치가 낮다는 건 제대로 된 보건 의료시스템이 작동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OECD 국가와 비교했을 때 자살 사망률 1위 기록은 2003년 이후로 깨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자살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한의사를 포함한 임상 의사 수는 OECD 평균에 크게 못 미쳤습니다.
인구 1천 명당 2.7명으로, 일본에 이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적었습니다.
반면 MRI, CT 등 주요 장비 보유 대수는 상위권이었습니다.
병원은 가장 많이 다녔습니다.
한 사람이 연간 18회 외래 진료를 받아 OECD 평균의 2.8배에 달했고 전체 회원국 중 가장 많았습니다.
가장 적게 다닌 나라와 비교하면 10배나 차이납니다.
상대적으로 높은 의료 접근성 덕분으로 분석됩니다.
입원일수도 OECD 국가 중에서 일본 다음으로 길었습니다.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 요소도 분석했습니다.
흡연은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OECD 평균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류 소비량도 10년 사이 계속 줄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 소비량은 연간 7.8리터로, OECD 평균보다 적었습니다.
과체중과 비만 인구 비율은 36.5%로,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62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경제형벌 합리화TF' 가동···"기업 경영 위축 막아야" 01:59
- "저성과·관행 지출 예산, 과감히 구조조정" 02:13
- 경제부총리 미국 도착···첫날 2시간 '통상협의' 02:09
- "조선업 외에도 패키지 논의"···막바지 협상 총력 [뉴스의 맥] 03:26
- 기대수명 83.5년···국민 1인 외래진료 '최다' 02:02
- 잇따른 '랜섬웨어' 공격···"보안 사고에 징벌적 과징금" 02:01
- 성실상환 인센티브···최대 7년 추가 분할상환·1%p 금리감면 01:53
- "서민 대상 범죄, 무관용 대처···위조상품 원천 봉쇄" 01:59
- 지난해 건물 에너지 총사용량 3.9%↑···냉방 수요 증가 02:47
- 삼계탕 2만 원 시대···'가성비 보양식'이 뜬다 02:16
- 35도 안팎 더위···8월 초까지 폭염 계속 01:34
- "딥페이크 잡아낸다"···행안부, 딥페이크 분석모델 제공 확대 02:12
- 이 대통령, 스가 전 일본총리 접견···"미래지향적 관계되길" 00:34
- 대통령 특사단, 베트남·폴란드에 이 대통령 친서 전달 00:44
- 중기부, 폐업 소상공인 점포철거 지원금 확대 00:34
- 해양수산부, 한화오션과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 체결 01:06
- 일상에서 만나는 공간정보 AI, 지도로 답하다 00:50
- 휴가철 물놀이 사고, 기본수칙 준수로 막을 수 있습니다 00:49
- 농식품부-나폴리맛피아-청년농부, '청년식탁' 개업! 0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