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등록일 : 2025.08.01 08:46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한국과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극적으로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내리고, 자동차 품목 관세도 15%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협상을 타결한 일본, EU와 같은 수준으로 낮췄습니다.
첫 소식,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8월 1일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한미 양국이 관세협상을 타결했습니다.
미국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자동차와 관련 부품에 적용하는 품목 관세도 25%에서 15%로 내렸습니다.
이번에 합의한 상호관세율과 자동차 관세율은 일본, EU 등과 같은 수치입니다.
한미 양국은 조선업 등 산업 협력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이 1천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펀드를 조성해 일명 '마스가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립 등이 추진되는데, 정부는 우리 기업 수요에 기반해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2천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펀드를 조성해 반도체와 원자력, 이차전지, 바이오 등 전략산업에 투입합니다.
조선협력 펀드와 대미투자펀드 등 3천500억 달러 패키지는 투자, 대출, 보증 등으로 이뤄지는데, 대부분 대출과 보증이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LNG 등 미국 에너지 구매도 향후 4년간 1천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우리에게 필요한 에너지 구매처를 미국으로 확대, 전환하는 것으로 우리 경제에 추가 부담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미는 이와 함께 검역절차 개선과 자동차 안전 기준 동등성 인정 상한 폐지 등 비관세 장벽 문제는 계속 협의해나가기로 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KTV 문기혁입니다.
한국과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극적으로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내리고, 자동차 품목 관세도 15%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협상을 타결한 일본, EU와 같은 수준으로 낮췄습니다.
첫 소식,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8월 1일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한미 양국이 관세협상을 타결했습니다.
미국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자동차와 관련 부품에 적용하는 품목 관세도 25%에서 15%로 내렸습니다.
이번에 합의한 상호관세율과 자동차 관세율은 일본, EU 등과 같은 수치입니다.
한미 양국은 조선업 등 산업 협력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이 1천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펀드를 조성해 일명 '마스가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립 등이 추진되는데, 정부는 우리 기업 수요에 기반해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2천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펀드를 조성해 반도체와 원자력, 이차전지, 바이오 등 전략산업에 투입합니다.
조선협력 펀드와 대미투자펀드 등 3천500억 달러 패키지는 투자, 대출, 보증 등으로 이뤄지는데, 대부분 대출과 보증이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LNG 등 미국 에너지 구매도 향후 4년간 1천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우리에게 필요한 에너지 구매처를 미국으로 확대, 전환하는 것으로 우리 경제에 추가 부담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미는 이와 함께 검역절차 개선과 자동차 안전 기준 동등성 인정 상한 폐지 등 비관세 장벽 문제는 계속 협의해나가기로 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467회) 클립영상
- 한미 관세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01:43
- "수출 불확실성 제거···주요국과 동등 조건서 경쟁" 02:57
- "2주 내 한미 정상회담···투자·안보 추가 논의" [뉴스의 맥] 04:18
- 이 대통령 "공직자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와" 02:28
- 대통령실 "전남권,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로" 00:41
- 세제개편안 발표···법인세 최고세율 다시 25% 02:06
-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국가전략기술에 AI 추가 02:13
- 다자녀 신용카드 공제 한도 상향···예체능 학원비도 지원 02:04
- 6월 생산·소비 반등···투자는 넉 달째 감소 01:43
- 최휘영 "문체부 할 일은 '못자리'···미래 향한 디딤돌 놓겠다" 02:32
- 다문화 가족 소득·정착 기간 개선···10명 중 6명 대학 진학 02:09
- "편집돼도 출연료 지급"···'출연표준계약서' 개정 0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