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재난문자 확인···침수 위험지역 선제 대피
등록일 : 2025.08.04 17:27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뿌리는 '극한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요.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긴급재난문자'를 확인하고, 침수 위험지역 거주자는 미리 대피해야 합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남부지방을 강타한 극한 호우.
오는 6일 밤 또다시 극한 호우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극한 호우시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선 국민행동요령에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한 공간에서 TV, 라디오를 통해 기상 정보를 확인하는 한편, 늦은 밤에는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천과 해안 근처, 배수로 등 침수 위험지역에는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침수 이력이 있는 상습 침수지역 거주자와 산사태 위험지역 거주자는 선제적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공무원과 이장, 통장의 대피 요청 시 대피소로 이동하고, 지자체가 보내는 긴급재난문자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휴가철을 맞아 계곡이나 하천에서 휴가를 즐기는 여행객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산사태 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휴가를 떠난 곳의 과거 날씨 이력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전화인터뷰> 맹소영 / 기상칼럼니스트
"앞으로 내리는 비도 중요하긴 하지만 과거 많은 양의 비가 내렸던 경우에는 지반이 약해지거나 침수피해가 우려될 수 있는 곳이 있기 때문에..."
정부는 지자체와 관공서에 여행객 통제와 대피를 철저하게 이행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녹취> 윤호중 / 행정안전부 장관
"계곡과 하천에서 휴가를 즐기시는 여행객들이 급작스럽게 내리는 비와 불어난 물로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철저한 상황관리와 사전통제, 신속한 대피에 만전을 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이어 높은 수준의 경각심을 갖고, 위험 상황이 끝나는 시점까지 호우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KTV 윤현석입니다.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뿌리는 '극한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요.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긴급재난문자'를 확인하고, 침수 위험지역 거주자는 미리 대피해야 합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남부지방을 강타한 극한 호우.
오는 6일 밤 또다시 극한 호우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극한 호우시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선 국민행동요령에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한 공간에서 TV, 라디오를 통해 기상 정보를 확인하는 한편, 늦은 밤에는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천과 해안 근처, 배수로 등 침수 위험지역에는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침수 이력이 있는 상습 침수지역 거주자와 산사태 위험지역 거주자는 선제적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공무원과 이장, 통장의 대피 요청 시 대피소로 이동하고, 지자체가 보내는 긴급재난문자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휴가철을 맞아 계곡이나 하천에서 휴가를 즐기는 여행객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산사태 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휴가를 떠난 곳의 과거 날씨 이력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전화인터뷰> 맹소영 / 기상칼럼니스트
"앞으로 내리는 비도 중요하긴 하지만 과거 많은 양의 비가 내렸던 경우에는 지반이 약해지거나 침수피해가 우려될 수 있는 곳이 있기 때문에..."
정부는 지자체와 관공서에 여행객 통제와 대피를 철저하게 이행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녹취> 윤호중 / 행정안전부 장관
"계곡과 하천에서 휴가를 즐기시는 여행객들이 급작스럽게 내리는 비와 불어난 물로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철저한 상황관리와 사전통제, 신속한 대피에 만전을 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이어 높은 수준의 경각심을 갖고, 위험 상황이 끝나는 시점까지 호우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872회) 클립영상
- 대통령실 브리핑 - 수석·보좌관회의 관련 03:10
- 579mm 물폭탄 후 잠시 소강···모레 또 강한 비 예보 02:06
- 긴급재난문자 확인···침수 위험지역 선제 대피 01:57
- 이 대통령 "호우 피해 최소화···선조치 후보고" 00:36
- 이 대통령, 오늘부터 휴가···정국 구상·한미회담 준비 02:21
- 산업장관 "미 관세, 불리하지 않은 조건" 01:54
-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3%↑···1위 '화장품' 01:40
- 경찰국 폐지 절차 착수···3년 만에 폐지 01:32
- "운임 인상 한도 초과"···아시아나에 121억 이행강제금 01:47
- 군, 대북확성기 철거···"남북 긴장완화 조치" 00:25
- 트럼프, 연준 이사·노동통계국장 곧 발표 [글로벌 핫이슈] 06:35
- 오늘의 증시 (25. 08. 04. 16시) 00:39
- 소비심리 회복 추세···내수 부진 벗어날까 '기대' [오늘의 이슈] 04:48
- 15% 상호관세 발효···K-산업에 미칠 영향은? [경제&이슈] 14:27
- 전라남도 여수시 [함께힐링] 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