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소상공인 매출 2% 증가···'소비쿠폰' 효과? [뉴스의 맥]
등록일 : 2025.08.04 20:26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민생회복 소비쿠폰, 다들 사용해 보셨나요?
지급 3주차를 맞아서,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취재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신국진 기자도 쿠폰 사용해봤나요?

신국진 기자>
네, 지난달 28일에 주민센터를 방문해 실물 카드로 발급 받았습니다.
지금 제가 들고 있는 카드인데요.
발급을 받고 곧바로 첫째 아이 학원비를 결제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실제로 자영업자 매출에 도움이 됐는지도 궁금한데요.
전체 카드 사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고요?

신국진 기자>
네, 소비쿠폰 배포 이후 한 주 동안 집계된 전국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입니다.
한국신용데이터가 분석해 발표했는데요.
분석 기간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급이 시작된 지난달 21일부터 27일인데요.
이 기간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38만2천207곳의 카드 매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 카드 매출액이 전 주 대비 2.2%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경호 앵커>
앞으로 둘째 주 매출 증가 폭도 눈여겨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이 어디에 가장 많이 썼는지도 궁금한데요.
어떤 업종이 가장 큰 혜택을 봤나요?

신국진 기자>
김 앵커가 생각했을 때는 어떤 업종이 가장 많이 늘었을 것 같나요?

김경호 앵커>
저는 일회용 렌즈를 사용하고 있어서 대용량 구매를 했는데요.
아무래도 생필품을 많이 구매하지 않으셨을까요?

신국진 기자>
네, 가장 많은 매출이 증가한 건 안경원 업종이었는데요.
전주 대비 무려 56.8% 치솟았습니다.
패션·의류업 매출도 28.4% 늘었고, 면 요리 전문점도 25.5% 증가했습니다.
이외에도 외국어 학원, 피자, 초밥·롤 전문점 미용업 등 소상공인 중심으로 매출 증가 폭이 큰 것으로 조사 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제주를 제외한 전국 소상공인 매출액이 늘어났는데요.
시민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김보헌 / 대전시 중구
"제 거 신용카드랑 체크카드가 없어서 직접 받으러 왔습니다. 아이 학원 결제도 가능하면 쓰고, 남은 건 약국이라든가..."

녹취> 정철성 / 정육점 상인
"많이 팔리는 거니까 좋죠. 나오는 돈 있으면 그 돈으로 고기도 많이 사가서 잡수실 거고.."

김경호 앵커>
저도 안경점에서 사용하긴 했지만, 1위는 다소 의외네요.
아직 사용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사용 방법도 다시 한번 정리해주시죠.

신국진 기자>
네,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되는데요.
주소지 상 지자체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처도 연 매출이 30억 원 이하인 매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가 아닌 일반 소규모 매장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프랜차이즈 매장은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김경호 앵커>
신청을 아직 안 한 분들도 계신데요.
마지막으로 주의할 점도 함께 알려주시죠.

신국진 기자>
네, 행정안전부는 소비쿠폰은 사업 개시 11일째인 지난달 31일 오전 11시 기준 전 국민의 90%가 신청했다고 발표했는데요.
아직 10% 정도의 국민이 신청을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소비쿠폰 1차 신청 기간은 오는 9월 12일까지 이전에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이후 2차 신청 기간은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이고요.
'소비 쿠폰' 사용 기한은 오는 11월 31일까지입니다.
이때까지 사용되지 않은 소비쿠폰은 국고로 환수된다는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소비쿠폰 발급 초기부터 제기된 문제인데요.
정부와 금융 기관을 사칭한 스미싱 사기 우려가 있습니다.
정부와 금융 기관은 링크가 포함된 메시지를 발송하지 않으니 더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김경호 앵커>
지금까지 소비쿠폰 관련 내용 알아봤습니다.
신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